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T 5G 통신망 관리 기술 초안, 글로벌 통신·장비 사업자 회의서 채택…“국제 표준 주도”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글로벌 통신·장비 사업자 및 전문가들이 모인 ITU-T IMT 2020 포커스 그룹 회의에서 KT의 5세대(5G) 통신망 관리 기술이 표준문서 초안으로 승인 받았다.

13일 KT에 따르면 3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 간 KT 우면동 융합기술원에서 제5차 ITU-T IMT-2020 포커스 그룹 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엔 ▷Telecom Italia, NTT, 사우디 텔레콤 등 6개 글로벌 주요 통신사 ▷에릭슨, 노키아 등 11개 장비 사업자 ▷스위스 연방통신청, 중국 신통원 등 4개 국가기관 ▷ETRI, 동경대 등 4개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통신망관리, 통신망구조, 가상화 등을 주제로 5G 국제표준 개발이 논의됐다.

KT는 이번 회의에서 5G 망관리와 관련한 2건의 표준문서 초안을 채택시켰고, 이 초안은 향후 ITU-T의 제 13 스터디그룹(Study Group 13) 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이다. 이는 한국 ITU 위원회에서 ITU-T IMT-2020 대응특별반을 설립, 국가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검토하는 등 철저히 행사를 준비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사진 설명 : 2016년 ITU 전기통신표준총국 산하 IMT-2020 포커스 그룹 회의에서 의장단이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ITU 사무국 IMT-2020 포커스 그룹의 마틴 아돌프(Martin Adolph) 카운셀러, 피터 애쉬우드(Peter Ashwood) 의장, 고남석 부의장, 루카 페산도(Luca Pesando) 부의장

특히 통신 국제표준은 그 동안 무선과 유선 분야 간 서로 다른 표준을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이 때문에 통신사들은 새로운 기술이 표준화 될 때마다 통신망을 새로 구축하는 비용 부담을 겪어왔다. 따라서 이번 5G 국제표준화 성과가 이 같은 비용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KT는 강조했다.

이동면 KT 융합기술원장은 “이미 5G를 위한 초광대역 무선접속기술을 세계 최초로 시연한 KT는, 대용량 트래픽 전송과 초고품질 서비스 기술도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며 “KT가 5G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에 기반하는 차세대 통신 생태계를 주도할 차별성은, 어느 사업자보다도 뛰어난 속도와 품질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지난해 ITU-T IMT 2020 포커스 그룹 설립을 주도, 5G의 핵심 기술인 초고품질·초저지연 제공을 위한 ‘종단간 5G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의 표준화를 이끌어 왔다. 올해부터는 ‘종단간 5G 망관리(End-to-end Network Management for IMT-2020) 분과’의 챔피언에 선정돼, 세계 최초의 5G 망관리 기본구조 표준 초안을 채택시켰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