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총선개입’ 후폭풍 차단 고심하는 靑
-총선, 공천 개입 논란으로 3월 국회서 중점 법안 처리에 악영향 우려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4ㆍ13 총선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천 개입 논란을 차단하기 위한 청와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8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겨냥한 윤상현 의원의 ‘막말 파문’에 이어 지난 9일 현기환 정무수석과 이한구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의 ‘극비 회동설’, 10일 박근혜 대통령의 대구 및 안동 방문에 이르기까지 최근 사흘 동안 벌어진 일들을 ‘총선을 앞둔 청와대의 정치적 개입’으로 연관지어 보는 시각들 때문이다. 


정치권에서 제기된 청와대의 총선 개입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9월 초 박 대통령의 대구서문시장 방문 때 청와대가 지역 국회의원들을 부르지 않은 것이 ‘TK 지역 전략공천설’ 논란으로 확산됐고 정치권에 파장을 몰고 왔다. 최근 ‘공천 살생부’ 논란에 대해서도 청와대가 발끈한 적이 있다.

이번에는 전직 청와대 정무특보이자 이른바 박근혜 대통령의 ‘남자’로 친박 실세 중 실세로 분류되는 윤 의원의 욕설 발언 파문으로 당내 친박계와 비박계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상황에서 현기환 수석과 이한구 위원장의 극비 회동까지 연이어 터지면서 청와대의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의혹이 증폭됐다.

여기에 박 대통령이 ‘정치적 고향’인 대구를 전격 방문하면서 분분한 정치적 해석을 낳았다. 박 대통령은 정치적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대구에서 경제행보에만 집중했지만 ‘진박’(진실한 친박)들이 뛰고 있는 총선 승부처인 동구, 북구, 수성구를 차례로 돌아 ‘무언’의 정치적 메시지를 남겼다. 20여명의 친박계 현역 및 예비후보들이 대거 나온 안동은 박 대통령과 총선 예비 후보들의 ‘만남의 장소’가 됐다.

청와대는 이런 의혹의 시선을 당연히 부인하고 있다. 정연국 대변인은 11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구에서 정치인을 만난 사람이 아무도 없고 어제 도시락까지 드시면서 진짜 강행군했는데 아무리 경제행보라고 말씀드려도 그렇게 안 받아주시니까 참 답답하다”고 답했다.

이어 현기환 수석과 이한구 위원장의 회동설에 대해서도 “물어보니까 그런 거 없다고 한다”며 부인했다. 그러나 사실이 아니면 정정보도 요청을 하느냐는 질문에는 “저는 거기까지만 확인하고 왔다”고 말했다. 현 수석이 호텔에 갔었는 지에 대한 질문에도 ”안 만났다고만 들었다“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이런 기류로 3월 임시 국회가 열리더라도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파견법, 사이버테러방지법 등 중점 법안 처리가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

sr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