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남한서 2000만명 사용하는 인터넷뱅킹 SW업체 전산망 장악”
-주요 인사 스마트폰 문자. 음성통화 해킹
-북한 좀비PC 작년 6만대, 1월 120개 국가 1만대
-철도직원 메일계정 탈취해 관제시스템 테러 준비
-공공기관 SW해킹 공인인증서도 해킹
-2만5000개 스마트폰 번호 메시지 해킹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북한의 해킹조직이 우리 국민 2000만명 이상이 인터넷뱅킹ㆍ인터넷 카드 결제 때 사용하는 보안소프트웨어(SW) 제작업체 내부 전산망에 침투해 전산망을 장악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최근 정부 주요 인사 수십명의 스마트폰을 공격해, 해킹된 스마트폰에서 문자메시지ㆍ음성통화 내용까지 가져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공격대상 스마트폰 중 20% 가까이가 감염됐으며, 감염된 스마트폰에 담겨 있던 주요 인사들의 전화번호가 추가로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정보원은 8일 최종일 3차장 주관으로 국무조정실, 미래부, 금융위, 국방부 등 14개 부처 국장급 등이 참석한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최근 북한의 사이버테러 공격 사례를 설명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월말부터 3월초 사이에 정부 주요 인사 수십명의 스마트폰을 공격, 해킹된 스마트폰에서 통화내역과 문자메시지, 음성통화 내용을 절취했다. 국정원은 현재 관계기관 합동으로 악성코드 차단 등 긴급대응에 나서고 있으나 감염 스마트폰을 통해 주요 인사들의 전화번호가 추가 유출돼 2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또 지난 2월 미래부ㆍ한국인터넷진흥원과 협조, 북한 해킹조직이 우리 국민 2000만명 이상이 인터넷뱅킹ㆍ인터넷 카드 결제 때 사용하는 보안소프트웨어 제작업체 내부 전산망에 침투, 전산망을 장악한 것을 확인했다. 국정원은 즉시 업체와 협조해 보안조치에 들어갔으며, 점검결과, 업체 서버 외에 일반 국민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 해킹조직은 2013~2014년 자체 개발한 스마트폰 게임 변조 프로그램에 악성코드를 은닉, 국내 비공식 앱마켓을 통해 유포하는 방식으로 2만5000여대에 달하는 국내 스마트폰을 해킹해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 등을 절취한 바 있다.

국정원은 국내 대부분 금융기관에 인터넷뱅킹용 보안소프트웨어를 납품하는 다른 업체의 전자인증서(코드 서명)도 북한에 의해 해킹, 탈취된 사실도 2월에 드러났다고 밝혔다. 북한은 다수의 국가ㆍ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내부정보 유출방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활용해 해킹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국정원은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국가ㆍ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긴급 보안조치를 실시했다.

북한의 이번 공격은 2013년 언론ㆍ금융사 전산장비를 파괴한 ‘3.20 사이버테러’와 같은 금융 전산망 대량파괴를 노린 사이버테러의 준비단계로 분석된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2월 2개 지방의 철도운영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피싱 메일을 유포, 직원들의 메일 계정과 패스워드 탈취를 시도했다. 이는 철도교통관제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테러의 준비단계로 국정원은 즉시 해당 기관에 관련 사실을 통보하고 메일 계정 등에 대한 차단조치를 했다.

국정원은 “북한은 지난해 6만여대의 좀비PC를 만든데 이어, 올해 1월에만 세계 120여개 국가에 1만여대의 좀비PC를 만들어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런 좀비PC들은 북한의 지령에 따라 언제든지 우리 사이버공간을 공격하는 사이버무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국정원은 “북한이 4차 핵실험 이후 잇단 해킹 공격을 통해 우리의 사이버공간을 위협하고 있으며, 대규모 사이버테러를 준비하고 있는 정황도 포착되고 있다”며 사이버테러방지법 제도 정비 전까지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북한의 사이버테러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sr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