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렵다더니…금융권 사상 최대 ‘배당잔치’
신한금융지주 총6310억원 지급KB금융도 총3786억원 결정CEO도 수천만원 배당혜택
신한금융지주 총6310억원 지급
KB금융도 총3786억원 결정
CEO도 수천만원 배당혜택


주요 금융지주사와 은행들이 3월 주주총회를 앞두고 사상최대 배당잔치를 예고하고 있다.

이익의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 ‘글로벌 기업 수준의 배당 확대’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일각에선 실적 부진으로 적자를 내거나 감원을 하면서도 주주들에게 배당을 확대하는데 대해 곱지않은 시선도 있다. 

배당 대신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노동자 또는 협력업체 직원들의 임금 인상이 우선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 역대 최대수준 배당금= 8일 금융권에 따르면 배당총액을 가장 많이 늘린 곳은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다. 

신한금융지주는 지난해 회계연도 결산 기준 배당액을 주당 1200원으로 확정하고, 총 6310억원을 지급키로 했다.

KB금융도 주당 980원씩 총 3786억원을 배당키로 해 역대 최대 배당액을 기록했다. 민영화 이슈로 관심을 모았던 우리은행은 지난해와 같은 3366억 원을 배당하기로 결정했다. 작년 순이익이 전년대비 줄었지만, 배당금은 전년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배당성향은 크게 확대됐다. 특히 배당성향은 31.3%를 기록해 조사대상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기업은행은 2945억원을 배당키로 했다. 2014년 배당성향이 27.1%였던 기업은행은 지난해 25.6%로 하락했다. 정책금융기관으로 순이익 증가분만큼 배당금을 늘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나금융도 총 1924억원을 배당금으로 책정해 배당성향은 같은 기간 17.7%에서 20.2%로 상승했다.

한국씨티은행의 경우 2015년 현금배당을 전년보다 두 배나 늘린 역대 최대 수준으로 결정했다. 보통주당 365원, 우선주당 415원씩 총 1161억원을 현금배당하기로 결정했다. 당기순이익에서 배당액이 차지하는 비중인 배당성향은 40%대 전후로 추정된다

▶ CEO들도 수천만원씩 배당금 ‘보너스’=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현재 총 3만7040주의 신한지주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한 회장은 이번 배당으로 약 4400만원 정도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도 KB지주 주식 1만주를 보유하고 있어 약 1000만원 정도의 배당금 수익이 예상된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500만원 정도의 배당금 수익을 챙길 것으로 보인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배당금으로 2500만원 정도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하나금융 주식 총 5만1100주를 보유하고 있다.

▶ 실적악화에도 배당금 늘리는 이유는?= 주요 금융지주사들 배당액을 늘리게 된 배경은 기업소득환류세제 때문이다. 2017년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되는 기업소득환류세제는 투자와 배당, 임금증가액 등이 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일 경우 미달액의 10%가 법인세로 추가 과세되는 제도로, 지난해 회계연도부터 적용돼 올해 첫 과세된다. 금융지주사 대부분은 임금 인상 대신 주주에 대한 배당액을 늘리는 방식을 택한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의 고임금 논란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직원들의 임금을 올려줄 수는 없지 않겠느냐”며 배경을 설명했다.

문제는 금융지주사나 은행의 경우 바젤Ⅲ에 따라 2019년까지 자본비율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BIS비율은 13.7%, 보통주자본비율은 8.5%로 2년 연속 하락세다.

여기에 민영화가 답보 상태를 보이면서 배당을 늘려 공적자금을 회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자본 확충 때문에 배당을 적극적으로 늘리진 못하겠지만 기업환류소득세제 등도 고려해 예년 수준에서 배당규모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2014년 결산과 2015년 상반기 중간배당까지 포함해 주당 750원씩 배당을 했다.

일각에선 배당확대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기업이 본질적 경쟁력을 키우려면 배당보다 투자를 더 늘려야한다는 이유에서다.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시각도 있다.

주주뿐만 아니라 임직원, 협력업체, 지역사회 등도 기업의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만큼 이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소득 상위 1%가 배당의 95.3%(2012년 기준)를 가져가고, 중소기업 노동자 임금이 대기업의 62%(2015년 기준)로 격차가 계속 벌어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대기업 주주보다 노동자들한테 기업의 이익을 우선 배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은 “국내 기업의 배당성향이 다른 나라보다 한참 낮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투자 기회를 찾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에 돈을 쌓아두느니 가계 소비 촉진을 위해서라도 배당을 하는 게 옳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배당성향(2015년 5월말 기준)은 평균 16.75%로, 1위인 체코(72.87%)보다 50%포인트 이상 낮은 최하위권이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