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깜깜이 총선…이름도 몰라요, 정책도 몰라…
與, 친박·비박 공천다툼
野는 통합·컷오프 어수선
표가진 유권자는 뒷전
최악의 선거로 기록될듯



유권자들은 안중에도 없다. 진정한 의미의 선거인지조차 의심스럽다. 정책, 후보, 지역구 모두 실종됐다.

연일 계속되는 ‘친박ㆍ비박’과 ‘야권통합’ 논란은 정책 대결을 집어삼켰다. 각 당이 내놓은 공약은 구색맞추기일 뿐이다. 공약을 발표하고도 돌아서는 자리부터 새누리당은 살생부니 문건유출이니, 물갈이니 공천다툼 뿐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컷오프’니 ‘야권통합’이니 정신없다. 지역으로 내려가면 유권자들은 후보를 모른다. 어제 출마한다고 했다가 오늘은 다른 지역에 떡 하니 자리를 잡았다. 이번엔 출마한다는 것인지, 안한다는 것인지, 누가 어디에서 나온다는 것인지 알쏭달쏭하다. 선거를 앞두고 41일 전에야 확정된 선거구가 혼란을 더 부채질했다. 종전보다 7석이 늘어난 총 253석의 지역구 중 무려 48곳이 분구ㆍ통합되거나 이름이 바뀌었다. 5곳 중 1곳 꼴로 선거구가 바뀌었는데 선거 직전에야 확정됐고, 각 당의 공천은 당내 갈등 때문에 공천은 한없이 늦어지고 있다. 19대 국회가 ‘식물국회’가 되고도 모자라 유권자가 공약도 모르고, 후보도 모르고, 심지어 자신의 지역구조차 모르는 사상 최악의 ‘깜깜이 선거’를 20대에 유산으로 물려주게 생겼다.

이는 커다랗게는 선별적ㆍ보편적 복지 논쟁을 중심으로 여야 각당이 정책을 발표했던 2012년 4ㆍ11 19대 총선과는 딴판이다. 당시에는 정치권에서 스스로 ‘포퓰리즘’이라고 할 정도로 복지 공약을 쏟아냈다.

하지만 4년만에 총선 정국은 ‘공천’과 각 계파ㆍ정당간 이합집산으로 얼룩지면서 정책ㆍ노선ㆍ공약 대결은 자취를 감췄다. 8일까지 새누리당에선 ‘살생부 논란’과 ‘여론조사문건유출’로 파동을 겪은 이후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간의 공천룰 다툼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야권에선 김종인 더민주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간 통합과 연대 논쟁이 의제를 장악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일자리 중심 성장론’, 더민주는 ‘더불어성장론’, 국민의당은 ‘공정성장론’을 20대 총선 정책의 큰 틀로 제시했지만, 연일 계속되는 정쟁에 차별화도 실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론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정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여야 모두 지금까지 공천이 마무리되지 않으니 모든 게 다 뒤죽박죽으로 되어버렸다”며 “정당 정치가 제대로 자리 잡으려면 정당의 정책이 제대로 바로 서야 하지만 여당은 공천에, 야당은 통합에 관심이 쏠려 선거의 본래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형석 기자/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