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민 90% "심야 택시난 타개책 ‘해피존’ 확대하라”
-2775명 온라인 설문…서비스 만족도 80%

-서울시, 국토부와 해피존 제도화 협의 나서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서울 시민 10명 중 9명이 지난해 연말 심야시간 강남역 일대에서 서울시가 시범사업으로 추진한 택시 ‘해피존’ 서비스 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시가 2775명을 대상으로 벌인 온라인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민 대부분은 시범운영 끝난 택시 해피존 서비스를 확대 시행해야한다고 생각했다. 81.1%는 ‘해피존의 지속 운영에 찬성한다’고 답했고 ‘금요일 뿐 아니라 평일 심야시간으로 확대 운영’(87.2%)을 원했다.

또 ‘홍익대, 이태원, 종로 등 승차난이 심한 지역 확대 운영’(81.4%)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이 조사는 지난해 12월 15일부터 20일까지 서울시 여론조사 홈페이지에서 진행했다.

또 서울 시민 10명 중 8명은 택시 ‘해피존’ 서비스에 대해 만족 했다. 해피존 이용 경험이 있는 시민 78.3%(매우 만족한다 15.7%, 대체로 만족한다 62.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10명 중 4명(39.6%)은 강남역 택시 해피존이 확대될 경우 기대되는 긍정적인 효과로 ‘승차거부ㆍ골라태우기가 없어진다’로 꼽았다. 이어 ‘차도에 내려가 택시를 잡는 일이 사라져 안전’이라고 답한 시민이 29.4%를 차지했고 이어 ‘택시 새치기가 없어진다’(13.4%), ‘추가요금 요구 등 사라진다’(11.6%) 순으로 나타났다.

해피존을 확대 시행할 경우 운영 방식으로는 절반 이상(57.5%)이 ‘인력투입 없이 지정 승차대에서만 탑승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이전 방식대로 관리해야 한다’는 38.5%를 차지했다.

또 시민 74.7%는 해피존 제도가 택시 승차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가장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인력과 예산 문제’(36%)가 차지했다. ‘승차거부 등 단속을 강화해야지 인센티브를 준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고 보는 시민들도 25.4%나 됐다.

시민 43%는 심야시간 택시 요금체계를 변경한다면 ‘기본요금 인상만’을 원했고 34.4%는 ‘요금체계 변경을 반대’했다.

이 밖에 서울시민이 택시를 주로 이용하는 지역은 강남구가 27.5%로 1위로 꼽혔다. 이어 종로구(16.0%), 마포구(12.9%), 영등포구(11.0) 순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국토교통부와 해피존 제도화를 협의 중”이라며 “인력문제 등을 해결해 해피존을 홍익대, 이태원, 종로 등 택시 승차난이 심한 곳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