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전자금융거래 100조, 핀테크는 계속되어야 한다
지난해 전자금융거래 이용 금액이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했다. 전년보다 20%넘게 증가했다. 누가봐도 핀테크의 활성화에 따른 결과다. 요즘 온라인 모바일 쇼핑의 대금결제는 거의 핀테크로 이뤄진다. 휴대폰으로 계좌이체를 하고 계좌번호를 몰라도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하게 송금하는 방법도 있다. 경조사비를 정확한 시간에 보내기도 한다. 공과금 납부 고지서를 종이 대신 모바일 메신저로 대체하는 서비스도 출현했다. 앞으로 인터넷은행이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게 되면 이같은 생활밀착형 서비스는 계속 더 많이 나올 것이다. 은행창구로 가는 일이 점점 줄어든다. 이제 핀테크는 열풍이 아니라 생활이 됐다.

금융당국의 정책이 더욱 중요하게 됐다. 핀테크의 시장을 키우는 동시에 부작용을 방지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다. 핀테크의 비즈니스는 빅데이터에서 온다. 개인정보의 공유가 절대적이다. 게다가 공인인증서도 없다. 보다 정교한 정보보호가 필요하다. 금융사고에 대비한 소비자 보호장치도 마련되어야 한다.

아직 핀테크 산업이 가야할 길은 넓고도 많다. P2P 크라우드펀딩(여러 명의 투자자가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자금이 필요한 개인 또는 사업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일), 보험관련 서비스 등 상품결제를 넘어선 금융고유 영역의 비즈니스들이 더욱 활발하게 자리잡아야 한다. 금감원은 금융 정보기술(IT) 감독정책을 사전규제에서 사후관리로 전환하고 전자금융업 등록 소요기간을 2∼3개월에서 20일 이내로 단축했다. 다행스럽게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핀테크 신규 전자금융업자가 1년동안 16개사나 늘었다. 네곳 중 하나는 새로 등록된 업체다. 올해 신규 등록업체도 벌써 두 곳이다. 오는 6월쯤 소규모 전자금융업의 등록 자본금 요건이 5억원에서 3억원으로 낮아지면 더 많은 업체들이 쉽게 핀테크 시장에 진출할 전망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경쟁력이다. 핀테크에는 국경이 없다. 중국은 상대적으로 ATM기기등 금융인프라의 기반이 취약해 핀테크를 금융산업 발전의 주요전략으로 삼고 있다. 실제로 중국 핀테크 기업들은 자국에서의 경험과 정책 지원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수익모델을 개발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해외의 중국 관광객들이 모든 쇼핑을 알리페이나 텐센트로 결제하는 것을 걱정할 일이 아니다. 우리 관광객이 중국에서 이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게 될 수도 있다. 국경이 없는데 애국심에 호소해서 될 일이 아니다. 핀테크가 금융개혁의 최정점 과제가 되어야하는 이유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