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메르스 교훈 잊었나, 여전히 ‘시장통’같은 응급실
지난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된 메르스사태의 진원지는 병원 응급실이었다. 이때문에 정부와 의료계는 개선책을 내놓았지만 현실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보건복지부가 2014년 7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전국 응급의료기관 414곳의 응급실 실태조사한 결과 11곳은 과밀도가 100%를 넘어섰으며 서울대병원 응급실은 무려 182%에 달했다. 과밀도 상위 20곳의 평균치는 108%로 전년보다 나빠졌다. 실제 많은 대학병원 응급실이 병상부족으로 간이침대, 대기실 의자, 심한 경우 응급실 바닥에서 진료가 이뤄진다. 응급실이 북새통을 이루면서, 수술실이나 병실로 이송되는 시간도 평균 6시54분이나 걸리며, 상위 20곳의 중증응급환자 평균 대기시간은 14시간으로 반나절이 넘었다. 촌각을 다투는 위급한 환자나 보호자 입장에서는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비극을 맞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래선 곤란하다.

응급실 문제는 지난해 메르스 사태 이후 개선안이 마련되긴 했다. 두달 남짓 시행됐으나 병원과 응급실의 시설이나 국민들의 이용실태 등이 별로 바뀌지 않아 달라진 것은 많지 않다. 보호자 1인만 응급실출입을 허용하고, 환자 도착시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를 종전 2단계(응급-비응급)에서 5단계(소생-중증-응급-준응급-비응급)로 세분화 했다. 3등급 이내의 중증환자는 응급의학 전문의가 우선 치료에 나서고, 진료비도 줄여준다. 4,5등급의 경증환자는 2차 의료기관으로 이송을 권하며 진료비 부담을 늘렸다. 또 구급대가 이송단계에서 경증환자는 대형병원으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강화했다. 그러나 이를 강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한 서울 대형병원 응급실 관계자의 말을 빌면 등급판정에 반발하거나, 위중한 환자의 보호자가 다수 출입하기도 하며, 2차 의료기관을 권해도 자비로 치료받겠다며 버틸 경우 강제할 수단이 없다는 것이다. 병원 역시 수익성 문제로 인력이나 시설을 확충하는데 소극적이다. 응급실 과밀화가 해소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다만 적극적인 개선의지가 있을 경우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평균 대기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난 중앙보훈병원은 응급실 운영개선 TFT를 구성해 대책을 모색했고, 많은 시간을 단축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경증 환자들이나, 혹은 외래진료를 위한 꼼수로 응급실을 찾는 일은 자제해야한다. 병원이나 관련부처는 시스템과 의료전달체계를 시급히 정비해야할 것이다. 하나의 생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서다. 응급실도 그때문에 존재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