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일절 전국 만세 합창…서울ㆍ독도ㆍ독립기념관·제주
[헤럴드경제] 1일 삼일절을 맞아 전국에서 만세 합창이 펼쳐지는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

중앙 정부 차원의 ‘3·1절 기념식’이 이날 오전 세종문화회관에서 독립유공자, 광복회원, 시민 등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루어 후손들이 평화롭고 부강한 한반도에서 살게 하는 것이야말로 3·1 정신을 이 시대에 구현하는 가치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부산 시민 등 1600여 명은 오전 10시 부산시민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선열의 희생정신을 되새겼다. 기념식은 3·1절 기념 영상물 상영, 애국지사 소개, 독립 선언서 낭독, 기념공연(연극 ‘독립운동가 최천택’),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다.

제주에서는 조천만세동산(미밋동산) 일대에서 ‘제24회 조천만세대행진’ 행사가 열려 참가자 1000여 명이 동쪽과 서쪽에서 조천만세동산 방향으로 각 2㎞를 걸으며 선열들의 나라 사랑 정신을 새겼다.

광주에서도 이날 오전 10시 광주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3·1절 기념식이 열렸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는 3·1절 기념 전국 마라톤대회와 ‘민주의 종’ 타종식이 진행됐다.

인천에서는 남동구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3·1절 기념식’이 열렸으며, 인천 3·1운동의 발상지로 알려진 인천 창영초등학교에서 3·1 만세운동을 재연하는 거리행진이 펼쳐졌다.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광장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1919명의 명예독립운동가들이 모여 만세운동을 재현해 눈길을 끌었다. 1919명분의 비빔밥 나누기, 태극기 퍼포먼스, 풍물놀이, 무용극 등 다양한 이벤트도 펼쳐졌다.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는 이날 낮 12시 애국지사, 보훈단체장, 시민 등 1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기미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업적과 3·1독립운동 정신을계승하기 위한 타종행사가 열렸다.

한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주요 도시에서는 지역 시민단체들이 3·1정신 계승과 일본군 위안부 합의 파기 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