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더민주 컷오프, 국민의당에게는 양날의 칼…야권 재편 분수령되나
[헤럴드경제=장필수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23일 공천심사배제 대상인 하위 20%를 해당 국회의원들에게 통보하기로 하면서 ‘컷오프’ 대상자들이 다시 한번 야권 재편을 불러일으킬지 주목된다. 국민의당 또한 컷오프 명단 공개 후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양날의 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더민주로부터의 컷오프 대상자가 최대 16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자, 국민의당은 이들의 입당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원식 대변인은 22일 국민의당 최고위원회의 후 브리핑에서 사견임을 전제로 더민주의 컷오프와 관련, “우리 기준에 부합하는데 더민주에서 컷오프 됐다는 분들에 대해선 우리가 논의해서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삭줍기’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해서인지 “다른 분들도 포함해서 추가한다는 것이지,그분들을 의식해서 추가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상돈 국민의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도 이날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컷오프라는 게 전지전능한 게 아니다”며 “2012년 새누리당 컷오프 때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떨어졌던 것은 다 아는 사실 아닌가”라고 말해 컷오프 대상자들의 자질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뜻을 시사했다.

국민의당이 컷오프 대상자들을 영입할 경우, 남은 현역의원 3자리를 채워 원내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3월 28일까지 교섭단체 기준인 20석을 채운다면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72억 8000여만 원의 선거보조금을 받을 수 있지만, 실패하면 24억 7000여만 원밖에 받지 못한다. 또 호남을 제외한 타 지역의 현역을 통해 다른 지역에서 세를 확장할 수 있다.

하지만, 반발도 만만치 않다. 안철수 대표가 앞서 더민주에서의 물갈이 대상을 받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또 ‘이삭줍기’가 국민의당의 창당 기치인 ‘새정치’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당내에서 일고 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탈락한 사람들을 받는 게 이미지도 안 좋고, 진작에 받을 생각이었으면 지난번 사태 때 신기남 의원을 영입했어야 했다”며 “일단 부담감을 안고 해야 하고 쉽지도 않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essentia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