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드 한미실무단 구성, 다음주로 넘어갈듯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한국과 미국 정부가 이번 주 내 출범할 것으로 전망했던 사드 한미 공동실무단 구성이 늦어져 다음주나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 당국자는 19일 “한미 사드 협의를 위한 공동실무단 구성을 위한 약정 체결의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약정 체결이 완료되면 공동실무단이 정식으로 가동된다”며 앞으로 시간이 더 걸릴 것을 시사했다.

한미 공동실무단이 공식 출범하면 사드를 주한미군에 언제 배치할 지, 어느 지역에 배치할 지 등 주요 세부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한미 양국은 사드를 협의 하에 조속히 배치한다는 입장이지만 사드 배치 지역 등과 관련해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양국은 협상 시작 단계부터 신중히 임하고 있다.

한미는 지난 7일 북한이 장거리 로켓 광명성호를 발사한 직후,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협의를 공식화했다. 양국은 일단 사드 배치 문제를 본격적으로 협의할 한미 공동실무단을 꾸리기 위해 실무단 운영의 규범이 될 약정 체결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약정 체결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는 걸로 알려졌다.

사드 레이더 안전거리 [그래픽=헤럴드경제DB]

정부는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에 대해 사드 배치는 자주권 차원에서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해 “자주권 차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7일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공식적으로 우리 정부의 사드 배치 계획 철회를 요청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평택, 대구, 부산, 군산, 원주 등 사드 배치 후보지가 거론되면서 지역별로 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사드 핵심장비인 엑스밴드(X-Band) 레이더 AN/TPY-2에서 나오는 전자파 논란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미육군교범과 사드가 배치된 괌 환경영향평가서 등을 인용해 레이더 100m 내에서는 인체에 유해하나 그 외 지역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민간 항공기는 레이더의 2.4㎞ 밖에서, 전투 항공기는 5.5㎞ 밖에서 운항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