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 넘어 산’ 與 공천, 이번엔 ‘당원명부’ 두고 ‘불만’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새누리당의 20대 총선 후보자 공천 작업이 그야말로 ‘산 넘어 산’이다.

당장 눈에 띄는 비박(非朴)과 친박(親朴)의 계파갈등,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대결구도는 차치하더라도, 생각지 못했던 요소마다 문제 분출되며 발목을 잡고 있다.

이번에는 지난 18일부터 배부를 시작한 30만원짜리 공천 경선용 당원명부가 문제의 발단이 됐다.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와 최고위원회가 지난달 확정한 규정에 따르면 공천을 신청한 후보자들은 향후 경선에서 ‘당원 30%, 일반국민 70%’를 원칙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 위원장이 ‘100% 국민여론조사’ 확대하는 공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이는 아직 확정된 사안이 아니다.

문제는 이번에 새누리당이 배부한 경선용 당원명부에서는 경선 투표권을 우선 배정받는 책임당원과 차등 배정받는 일반당원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책임당원이 많은 영남권의 경우 사실상 책임당원만으로 선거인단이 구성되는 것을 감안하면, 예비후보들에게 사실상 ‘홍보타겟’을 알 수 없는 일반 전화번호부가 배부된 셈이다.

반면 지역구 국회의원들이나 원외 당협위원장들에게는 책임당원과 일반당원 명부가 구분돼 제공된다.

이에 대해 황진하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여러 케이스로 당원 명부를 제공할 수는 없다”며 “책임당원의 숫자가 적은 지역구에서 30 대 70 경선을 치를 경우 집중적인 매수공작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황 사무총장은 “형평성 문제 제기될 수는 있다”며 “장단점과 형평성을 고려해 공관위에서 다시 논의를 할 것”이라고 해 개선의 여지를 남겼다.

한편 이처럼 경선용 당원명부를 둘러싸고 문제가 발생하자 일부 지역에서는 현역 당협위원장이 스스로 ‘기득권 포기’를 선언하며 당의 단합을 촉구하기도 했다.

김태기 새누리당 성동갑 당협위원장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30 대 70 경선은 지역구를 관리해온 현역의원과 당협위원장의 노력을 인정하고, 특히 ‘권리는 없고 책임만 지는’ 원외 당협위원장의 고생을 배려하는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공정한 경선을 위해 기득권을 내려놓겠다. 책임당원 여부를 표기해 경선의 불공정 시비를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