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기억 교실, 이제는 학생에게 돌려줘야 할 때
3월 개학이 코 앞이다. 단원고 ‘기억 교실’ 문제를 어떻게든 해결해야 할 때가 됐다. 새로운 피해자가 생겨나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기억 교실’은 이재정 경기교육감이 지난 2014년 11월, 세월호 참사로 세상을 떠난 학생들의 명예졸업이 이뤄질 때까지 교실을 보존하겠다”고 약속해서 오늘에 이르렀다. 이 교육감은 단원고 인근 부지에 2019년까지 ‘416 민주시민교육원’을 건립해 추모공간을 별도로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그때까지 희생자 유품 등을 안산교육지원청으로 옮겨 임시 보관하겠다는 계획까지 내놨다. 대안으로는 충분하다. 하지만 유가족과 일부 시민단체가 “억울하게 숨진 학생들의 원혼을 달래고 다시는 이런 불행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기억교실을 단원고에 계속 남겨둬야 한다”고 주장해 진행을 못하는 상황이다.

당장 신입생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상황이다. 이제 곧 3월 개학과 함께 새내기 301명이 들어오지만 교실이 부족하다. 현재 단원고 교실 수는 모두 40개로 1, 2학년이 각 12학급, 3학년이 14학급이어서 38개의 교실이 필요한데 2학년 10개 교실이 ‘기억교실’로 남아 8개 교실이 모자란다. 증축도 불가능해 방법이 없다.

“생생한 안전교육의 현장으로 남겨 쉽게 잊어버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전명선 세월호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의 주장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단원고 교실을 치우면 세월호 참사의 기억도 잊힌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원고에서 생활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입장은 사뭇 다르다. 아픈 기억이 후배들에게 새로운 피해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복도를 오가다 기억 교실을 매일 보게 되니 심리적 불안감, 우울감, 억압, 죄책감이 들어 수업하는 학생이나 가르치는 선생님이나 제대로 된 교육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상당수 재학생은 학교의 무거운 분위기 때문에 야간 자율학습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실제로 단원고의 학업성취도는 전국 최하위권이다. 기억교실이 모든 이유는 아닐지라도 일부 원인이었음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꽃도 피워보지 못하고 떠나보낸 자녀들이 다닌 학교에 기억의 공간을 남기려는 부모들의 마음은 십분 이해할 수 있다. 그래도 그 공간을 필요로하는 또 다른 꽃들이 있다면 그들에게 교실을 돌려주는게 옳다. 문제해결을 주도해야 할 당사자는 이재정 경기교육감이다. ‘416 민주시민교육원’으로 옮겨질 기억교실이 그야말로 잊혀지지않고 기억되는 공간으로 남도록 하겠다는 설득이 필요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