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행복은 성적순이라네요”
상명대 김영철 교수 9997명 조사


‘행복은 성적순’일 가능성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학력과 출신 대학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얘기다.

15일 김영철 상명대 금융경제학과 교수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7차년도 자료 중 9997명을 상대로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을 설문한 결과를 활용해 출신 대학 수준과 학력에 따라 생활 만족도가 달라지는지 분석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

학력 수준은 대학별 입학생 평균 대입성적을 추정해 상위권대(10개), 중상위권대(30개), 중위권대(40개), 기타 4년제대, 전문대, 고졸, 중졸 이하로 나눴다.


분석 결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전반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 응답자 9948명 중 자신의 생활을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2%(3095명)였으나 상위권대 출신 중에서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54.0%로 나타났다.

이후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삶을 만족한다는 응답자 비율도 줄었다. 중상위권대는 46.4%, 중위권대는 42.4%, 기타 4년제대는 46.2%를 기록해 상위권대 외 대졸자들은 대체로 비슷했으나 전문대졸, 고졸, 중졸 이하는 각각 35.1%, 28.8%, 23.1%로 떨어졌다.

월평균 소득과 종사하는 직업의 지위가 같다고 가정하고 분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전문대졸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중졸 이하와 고졸은 만족도가 각 11.9%p와 6.2%p 낮았고, 중상위권대와 상위권대 출신은 각 10.6%p, 15.5%p 높았다.

학벌 차가 소득 차로 이어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배제해 보면 소득 외에 일자리의 질적 수준이나 결혼 및 가정생활, 자존감이나 차별의식 등 다양한요소들이 학벌 효과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이 논문은 이달 17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되고 ‘경제학연구’ 3월호에 게재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