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지하철 5~8호선 이용객 감소 …무임승차만 늘었다
-서울도시철도 ‘2015년 수송인원 분석’ 750만 명 감소
-14.8%가 무임승차… 65세 이상 어르신 77.7%로 3%↑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지난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영향으로 서울 지하철 5~8호선 이용자가 감소한 가운데 무임승차 인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도시철도공사가 15일 발표한 ‘2015년 수송인원 분석’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지하철 5~8호선 이용객은 9억7000만명(하루 평균 265만5000명)이었다. 이는 2014년보다 750만 명이 감소한 99.2% 수준이다. 


수송인원 감소는 메르스가 여파가 결정적이었다. 메르스가 절정에 달했던 6~8월 수송인원은 전년도의 96.6% 수준(813만 명 감소)이었다.

반면 지난해 지하철 5~8호선 무임수송 인원은 일 평균 27만5000명으로 전체 수송인원의 14.8%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운임으로 환산하면 1260억 원(전년대비 10.5% 증가)으로 나타났다.

무임승차 비율을 살펴보면 65세 이상 노인이 77.7%(일평균 21만4000명)로 전년대비 3.0% 증가했고, 장애인이 20.8%(일평균 5만7000명), 국가유공자가 1.5%(4000명)을 각각 차지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수송인원이 6만1187명에 달했다. 이어서 5ㆍ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 순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수송인원이 가장 적은 역은 7호선 장암역(3120명), 6호선 버티고개역(3725명) 순이었다.


요일별로 보면 금요일이 하루 평균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월요일이 291만명으로 다른 요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일요일과 공휴일은 평일 평균치의 절반 수준(53.7%)인 159만명에 그쳤다.

시간대별로는 출ㆍ퇴근시간대인 오전 7시~9시, 오후 18시~20시가 전체 이용객의 34.4%를 차지했고, 심야 시간대인 24시 ~오전 1시까지(0.3%)가 이용객이 가장 적었다.

7호선은 하루 평균 102만6000명이 이용해 5~8호선 전체 수송량의 38.6%를 차지해 가장 많은 승객을 수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7호선은 가장 적은 이용객을 기록한 8호선(하루 평균 24만4000명)보다 78만2000명 많은 수치다.

전년대비 수송인원에 큰 변화를 보인 역들도 눈에 띈다. 5호선 마곡역이 전년대비 일 평균 승객이 2944명(43.8%) 증가해 1위를 차지했으며, 5호선 애오개역(18.8%), 8호선 잠실역(15.8%)이 뒤를 이었다. 반면, 5호선 명일역(-8.8%), 7호선 청담역(-10.2%), 7호선 강남구청(-11.0%)은 승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