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방부 “사드 도입=X, 배치=O”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한미간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논의가 진전되고 있는 가운데 국방부가 사드 배치에 관한 잘못된 오해가 있다며 굳이 바로잡기에 나섰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 도입 비용과 관련한 질문에 “지금 사드에 대한 도입과 배치의 개념이 혼동되고 있는 것 같다”며 “사드는 도입하는 것이 아니고 주한미군이 필요에 의해서 배치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무기 도입이라는 표현은 우리 군이 일정 금액의 비용을 주고 사서 전력화하는 것이지만, 주한미군이 필요상 배치한다는 것은 미군 측이 비용을 부담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문 대변인의 발언은 이와 같은 ‘도입’과 ‘배치’의 차이점을 강조한 것으로, 일각에서 제기하는 사드 배치에 관한 우리 군의 비용 부담 문제를 일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사드 배치 후보지 [그래픽=헤럴드경제DB]

사드 1개 포대를 도입하려면 예비탄 등을 포함해 약 1조5000억원 가량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앞서 국방부는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규정에 따라 미국이 도입과 유지비용을 대고, 우리는 부지와 기반시설을 제공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사드 배치 후 우려되는 사드 레이더의 강력한 전자파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문 대변인은 “지난 2015년 6월에 괌 지역에 배치된 사드 배치 환경영향평가보고서에 따르면 레이더 안전거리는 인원은 100m, 장비는 500m, 항공기는 5.5㎞까지 안전거리로 제시하고 있다”며 “(사드 전자파 우려와 관련해서는) 이 근거에 따라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100m 밖에서 살아도 문제가 없느냐’는 질문에 대해 “현재 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그렇다”고 답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