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역사공원’에 없는 것은…역사!
主테마와 연결성 미흡 차별화 안돼
남산공원등 12곳 ‘무늬만 역사공원’
사유지 포함 일부는 난개발 우려도
“문화자원과 연계해 정체성 찾아야”



서울시내 역사공원 12곳 모두 무늬만 역사공원이고 실제는 근린공원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연구원이 4일 발표한 ‘역사공원 활성화 방안’ 정책보고서를 보면 역사적 장소나 시설물을 활용해 시민 휴식과 교육을 목적으로 조성된 서울시내 역사공원들이 취지와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역사공원 내부 시설이 근린공원과 별반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지역 자원과 연계성도 떨어진다.

사육신역사공원은 사육신묘와 의절사 부분에서 문화재 성격이 뚜렷했다. 하지만 이외 시설이 야생화 정원, 운동시설, 전망대 등으로 조성돼 ‘역사’와 연결성이 미흡했다.

선농단역사공원<사진>도 마찬가지였다. 상부는 선농단이지만 지하부는 공공건축물이 신축돼 건물 내부의 테마와 달랐다.

보고서는 “이승만 개인 기념공원으로 전락한 남산공원이나 대한소년화랑단의 이름으로 이승만 동상이 있는 파고다공원 등은 권력의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역사공원이 가진 교육체험 기능 활용도 턱없이 떨어졌다. 이는 공원에 대한 역사 문화적 특징을 담은 연구가 미흡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난개발이 우려되는 역사공원도 있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유지가 포함된 일부 역사공원은 개인적, 종교적 활용이 갈수록 증가되면서 주제와 공간이 이원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사유지 비율이 11.7%인 신계 역사공원의 경우 2009년 근린공원에서 변경지정 후 녹지와 조경시설을 줄이고 성당역할을 하는 당고개 순교성지 기념관 규모를 3배 이상 확장(391.5→1417.2㎡)해 증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도시공원법에 역사공원은 규모기준, 부지면적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가능했다. 보고서는 도시공원이 갖춰야할 자연 경관성은 떨어지고 역사공원 원형경관 역시 훼손돼 공공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의 역사성을 대표하는 궁궐, 단묘 등 국가지정 문화재급 역사자원이지만 이미 근린공원으로 지정됐고 그 밖의 근대유산이나 생활사적 역사자원 중 대부분이 체육, 묘지, 문화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지정된 역사공원은 독자적인 정체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게 서울연구원의 설명이다.

이에 보고서는 공원 내외의 역사ㆍ문화자원에 대한 자료를 모으고 정리해 역사적 정체성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역사적 정체성을 토대로 깊이 있는 스토리텔링 소재를 만들어낼 수 있고 시민에게 지역의 역사성을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원주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역사공원의 역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주변 자원을 발굴하고 주제와 연계성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역사공원 조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시민 홍보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전했다.

강문규 기자/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