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암, 복강경수술이 개복 수술에 비해 합병증 적어
- 서울대병원 등 국내 13개 병원, 1416명 위암환자 조사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조기위암은 복강경수술이 개복수술에 비해 유의하게 안전하다는 것이 국내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팀 등 국내 13개 병원이 참여한 임상시험에서 임상 1기 위암 환자 1416명을 대상으로 복강경위절제술 또는 개복위절제술을 무작위로 배정해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관찰했다.

연구 결과 복강경 원위부위절제술의 합병증 발생율은 13%로, 개복술 20%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또 수술 후 사망률은 각각 0.6%와 0.3%를 기록했다.





현재 위암을 비롯한 여러 고형암의 치료가 복강경 수술로 이뤄지고 있지만, 개복 수술에 비해 수술 근거가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다.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이 연구는 ‘KLASS-01; 조기위암에서의 복강경위절제술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다기관 전향적무작위 임상시험’으로, 2015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미국임상암학회(ASCO-GI)에서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이혁준<사진> 교수가 구연 발표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복강경 위절제술이 개복 수술에 비해 합병증이 낮다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한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향후 두 수술법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다면 복강경 수술은 조기위암의 표준 치료로 인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LASS’는 이번 연구를 시행한 대한복강경위장관연구회(Korean Laparoendoscopic Gastrointestinal Surgery Study Group)의 약자다. 양한광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가 설립을 주도해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김형호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KLASS-01 연구의 총괄 책임연구자를 맡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외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Annals of Surgery 2016년 1월호에 게재됐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