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강한파] 국토부, 25일 ‘정오 이후’ 제주공항 운항재개 검토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제주공항이 25일로 사흘째 운항이 중단된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제주공항에 대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 이날 정오 이후에 운항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는 25일 ‘정오 이후’와 ‘오후 8시 이후’ 운항을 재개하는 두 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활주로와 계류장 등의 제설ㆍ제빙 상황과 눈ㆍ바람 등 기상여건 등을 확인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확한 운항재개 시점은 오전 11시 기상대와 협의해 결정하겠다”며 “제주공항에 계류된 비행기 34대에 쌓인 눈을 녹이는 데 3시간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운항 재개가 결정되더라도 3시간 정도 뒤에 운항이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5일 정오 이후 운항재개가 이뤄지면 국토부는 정기편 143편에 더해 임시편 47편을 투입, 총 190편을 공급한다. 좌석으로 따지면 정기편 2만7915석, 임시편 1만1138석 등 총 3만953석이다.

전국에 불어닥친 한파와 폭설로 23일 오후 5시50분부터 시작된 제주공항의 항공편 결항이 25일로 3일째 이어졌다.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입ㆍ출국장에는 일부 승객과 승무원이 로비 등에서 대기하며 여객기의 운행 재개 여부를 기다리고 있다. 제주 지역에 강풍, 폭설, 한파가 계속되면서 한국공항공사는 제주공항의 활주로 운영 중단을 이날 오후 8시까지 연장했다. 정희조 기자/checho@heraldcorp.com [사진=헤럴드경제DB]


오후 8시 이후 운항재개가 가능해지면 정기편 43편에 임시편 26편을 더해 총 69편을 투입하기로 했다. 좌석으로는 정기편 7740석, 임시편 6374석 등 14천114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26일에는 정기편 215편으로 3만8700석이 공급되며 각 항공사가 임시편을 편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시편 투입 등 비상수송계획이 마련됐지만 제주를 떠나야 하는 체류객들의 불편이 바로 해소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체류객은 공항터미널에 1400명, 제주시내에 8만5600명 등 총 8만6960명으로 추정된다.

이 숫자는 항공사별 예약자 수를 더한 것이라 토요일 결항편 승객이 일요일, 월요일 운항편을 예약하고, 복수의 항공사에 예약한 경우가 많아 실제 체류객 수는 상당부분 줄 것으로 보인다.

제주공항은 시간당 34대가 이ㆍ착륙 할 수 있다. 평소 오전 6시∼오후 11시 운항시 출발승객은 하루 4만명까지 처리할 수 있다.

국토부는 비상상황이기에 제주공항과 김포공항 심야시간 운항허용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가 심야 운항을 허용하고 항공사들이 여객기를 투입하기로 하면 이에 맞춰 지하철 등 대중교통도 연장 운행할 방법이다.

이날 오전 7시를 기준으로 국토부는 제주공항에 장비 8대와 17명을 투입해 제설작업을 벌이고 있다. 활주로 유도로 제설작업은 마쳤으며 계류장 제설작업이 진행 중이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