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발 쇼크 이후 첫 FOMC…美 금리 향방은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코앞으로 다가온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금융시장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오는 26∼27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다.

Fed가 지난해 12월 금리인상을 단행한 후 맞는 새해 첫 FOMC인데다, 연초부터 중국발(發) 쇼크가 글로벌 시장을 강타한 뒤여서 더욱 주목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Fed가 이번 FOMC에서 현재 0.25∼0.50% 수준인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CME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동결 가능성은 88.1%에 달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 상한을 0.5%로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88.1%로 압도적이다. [자료=CME그룹]


이는 미국 금리인상 속도를 결정하는 기준인 물가의 회복세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Fed의 주요 물가지표인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작년 11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3% 상승하는 데 그쳤다.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Fed의 인플레이션 목표 2.0%를 한참 못 미친다.

한국금융연구원 박종규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물가 수준이 2.0%에 근접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서 “국제 금융시장이 더 안 좋아지거나 타국의 경기침체 양상, 저유가 기조가 지속될 경우 3월에도 (금리인상) 건너뛸 가능성 높다”고 전망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기 동반 침체와 불확실성 증대 등의 리스크들도 금리인상을 가로막고 있다.

통상 미국은 금리를 결정할 때 자국 경제지표 외에 세계 경제 상황은 거의 고려하지 않는 ‘마이웨이’(My way) 행보를 보여왔다.

그러나 중국발 쇼크 등 신흥국 시장 변동성이 글로벌 시장은 물론 자국 경제에 갈수록 큰 영향을 미치자,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세계 경제라는 변수를 무시하기 힘들어진 것이다.

국제금융센터 김용준 외환팀장과 이상원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을 위시한 세계 경기회복 부진 우려와 맞물리면서 전 세계적으로 불안심리가 증폭되고 있다”면서 “국제 금융시장 불안으로 Fed의 금리인상이 제약될 여지가 상당하다”고 분석했다.

그밖에 FOMC 의결구조가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국은행 워싱턴주재원에 따르면, 올해 FOMC 의결권을 갖는 지역 연방준비은행 총재 가운데 매파 비중이 커졌다.

중도 성향인 존 윌리엄스 총재(샌프란시스코)와 데니스 록하트 총재(애틀랜타)가 매파인 에스터 조지(캔자스시티)ㆍ로레타 메스터(클리블랜드)ㆍ제임스 불라드(세인트루이스) 총재로 교체되는 것.

한은 워싱턴주재원은 “올해 FOMC 회의에서는 금리인상 논의가 보다 본격화되는 과정에서 금리인상 여부, 시그널링 강도 등에 대한 이견 내지 입장 차이가 상당수의 반대의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