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해 한국 경제 좌우할 5대 변수는?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2016년 병신년 벽두부터 중국 증시 폭락과 북한 핵실험 등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최근 내놓은 ‘2016년 국내외 경제의 주요 워칭포인트’를 통해 한국 경제의 향방을 가를 5가지 주요 변수를 짚어봤다.

우선 지켜봐야 할 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출구전략이다. 미국이 금리인상 속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팽배한 상황이다. 시장의 눈과 귀가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쏠려있는 이유다.

Fed는 작년 12월 9년 반만에 금리인상을 전격 단행하며, 7년여에 걸친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통화정책 정상화에 착수했다. FOMC는 올해 4차례에 걸친 금리인상을 예상했으나, 시장에선 2∼3회 수준일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와 관련해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 이후 정책기조가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두 번째로 미국 금리인상 이후 주변국의 정책대응도 주목된다. 유럽과 일본, 중국의 통화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멕시코와 남아공, 중동, 홍콩 등 미국과 경제적 연계성이 큰 국가들을 중심으로 동반 금리인상 움직임 확산할 것으로 봤다. 그러나 유로존과 일본을 비롯해 상당수 국가들은 오히려 자국의 부진한 경제여건에 주목해 통화부양 기조를 지속하거나 추가 확대 움직임을 나타낼 것으로 관측됐다.

연구소는 이처럼 글로벌 차원의 통화정책 차별화가 확산되면서 “국제적으로 자본흐름의 변동성이 심화되고 주요 환율 역시 불안정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위안화 추가 평가절하에 따른 중국발(發) 쇼크도 한국 경제를 위협할 변수가 될 공산이 크다.

중국 내 가계자산이나 기업자금 조달에서 주식 의존도가 낮고 정부의 정책 여력을 고려하면 경착륙 위험은 당분간 높지 않지만, 그동안의 급속 성장기 동안 누적된 내부 불균형 문제가 향후 구조개혁 및 금융자유화 과정에서 대형 금융위기로 표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벌 통화정책 차별화와 맞물려 중국의 경기 방어 차원에서 위안화 추가 절하가 가속될 경우 국제적으로 ‘경쟁적 평가절하’ 움직임으로 비화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미국 출구전략과 맞물린 신흥시장의 정치ㆍ경제적 불안도 간과할 수 없는 변수다.

그동안 신흥경제는 부채위기에 비교적 유연한 반응을 보여 왔으나, 최근 국제 교역 위축 등 여파로 경제성장 및 기업수익이 위축되면서 부담이 증대되고 있다. 또 저유가가 장기화 되는 가운데 산유국 재정위기, 오일머니 환류 등의 부작용이 부각되며 신흥시장 불안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이슬람국가(IS)의 테러나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갈등도 불안심리를 부추긴다.

마지막으로 국내 경제의 성장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도 위험 요인이다. 고령화 및 생산성 저하 등으로 우리 경제의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약화되면서 국내 위기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소득 증대가 뒷받침되지 못하는 가운데 저금리 장기화로 가계부채 및 한계기업 급증 등 대내 건전성이 악화되며 외부 충격에 대한 내성이 약화된 것. 이런 가운데 금융권 역시 전반적인 경영건전성 개선에도 불구, 부실급증 위험이 부각되고 있다.

연구소는 “4월 총선에 따른 정치적 부담 속 가계부채 관리 및 한계기업 정리 향방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