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한민국 3대 지하경제 리포트-유흥업] 영수증 없는 불법 현금거래 만연
천문학적 탈세 지하경제 확대 주범
철저한 감시강화 국세청 역할 중요



현재 국내 많은 유흥업소들은 세금을 피하고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매출액 축소, 무자료 주류거래(세금계산서 없이 거래하는 것), 2종 유흥업소(술과 노래 가능하지만 접대부 불가)로 위장 등록, 가짜술 제조 등 불법행위들을 은밀하게 자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팀에 따르면 이중에서도 지하경제 확대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현금거래’다.

업주가 손님으로부터 이용금액을 현금으로 받으면 매출액 축소와 무자료 주류거래 등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2차적으로 투자자들에게 수익금이 현금으로 전달되고, 직원이나 여성접객원에게는 현금으로 일당을 주는 등 연쇄적인 불법 자금 흐름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탈세 규모 또한 점점 커지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지하경제 확산을 막기 위해 ‘국세청의 감시 강화’를 주목한다. 국세청이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고액거래보고제도, 의심거래보고제도 등을 활용해 유흥업소의 불법 현금거래 흐름의 사전 차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신용카드 위장가맹점 단속에도 국세청 역할이 주목된다. 세금탈루의 온상으로 지목받는 위장가맹점은 매년 약 1000여곳이 적발되는 등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신용카드 위장가맹점을 적발할 경우 국세청은 이 업체에 대해 직권폐업 조치를 취하고, 이를 여신금융협회에 통보해 카드사로 하여금 해당 업체의 가맹점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기업의 접대비 내역 공개도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꼽힌다. 2014년 기준 한 해 동안 국내 기업이 접대비로 사용했다고 국세청에 신고한 금액은 총 9조3368억원이었다. 이중 기업들이 유흥업소에서 법인카드로 사용한 금액은 1조1819억 원에 달했다. 기업 측이 신고하지 않은 금액까지 고려한다면 더 큰 금액이 유흥업소에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기업에서 유흥업소로 지출되는 금액이 증가하면서, 유흥업소에서 추가적인 불법적 영업이 이뤄질 가능성도 높아지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며 “일차적으로는 유흥업소의 불법 영업을 단속해야 하지만 이차적으로 기업에서 사용된 접대비 지출내용 증빙자료가 기재되는 실명제 부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대근 기자/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