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교안보업무보고] 北육해공 도발 원천차단.. 미사일 포함 한미일 실시간 정보공유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올해부터 북한의 육해공 도발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한ㆍ미ㆍ일간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함정과 항공기 등의 정보가 공유됐지만 앞으로는 미사일 정보까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미국, 일본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어 올해 한국과 미국간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해지면 사실상 3국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실현되는 셈이다. 군이 앞으로 북한 미사일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방부는 22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북한 도발에 대비해 올해의 핵심추진과제로 전방위 국방태세 확립, 미래지향적 방위역량 강화, 선진 국방환경 조성을 들었다. 

우주에서 운용 중인 정찰위성

이 과정에서 북한 도발에 주변국과 공동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변국과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시급하다는 점에서 이 같은 내용이 보고됐다.

22일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군 연동통제소(KICC)와 미군 연동통제소(JICC)를 데이터 공유체계인 ‘링크-16’ 시스템으로 연결해 공유하는 정보에 기존 조기경보위성(DSP) 뿐 아니라 신형 조기경보위성인 SBIRS 수집 자료도 포함된다.

SBIRS는 미사일 발사에서 나오는 열을 우주에서 감지하는 적외선 스캐닝 센서와 미사일 탄두를 추적하는 적외선 추적센서가 달린 시스템이다. 미국은 4개 SBIRS를 운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도 3만5700㎞ 상공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이 위성은 기존의 장거리 전략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중단거리 전술 탄도미사일도 탐지할 수 있다.

한국과 미국은 SBIRS 자료 등을 공유하고자 오산기지의 항공우주작전본부(KAOC)내에 각각 구축된 한국군 연동통제소와 미군 연동통제소를 올해 ‘링크-16’ 시스템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한국 연동통제소는 한국군 탄도탄작전통제소(KTMO Cell)와, 미국 연동통제소는 주한미군 탄도탄작전통제소(TMO Cell)와 각각 연결돼 있다. 탄도탄작전통제소는 각종 정보자산으로 수집된 탄도미사일 정보를 수신해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요격명령까지 하달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곳이다.

앞으로 한미는 정보자산으로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발사되는 순간부터 정보를 수집해 각자의 탄도탄작전통제소로 보내면 이 정보가 곧바로 한국과 미국의 연동통제소로 전달된다. 이어 양측 연동통제소를 ‘링크-16’ 시스템으로 연결해 실시간 정보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우리 측은 탄도탄 조기경보레이더인 ‘그린파인’(탐지거리 500~700㎞)과 이지스구축함의 SPY-1D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탐지거리 1000㎞)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정보를 수집해 KTMO-Cell과 연동통제소로 보내게 된다.

올해 하반기 착수돼 2020년 초반께 전력화될 우리 군 정찰위성이 수집한 정보도연동통제소에서 공유된다.

미측은 DSP와 SBIRS로 수집한 탄도미사일 정보가 오산에 있는 합동전술작전지상통제소(JTAGS)로 전송되면 JTAGS에서 연동통제소로 전달한다.

한반도 인근 해상에서 임무를 수행 중인 미국 이지스함도 탄도미사일 정보를 수집해 연동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다. 연동통제소에서는 패트리엇(PAC-3) 미사일 부대에서 탄도미사일 비행방향, 각도, 거리, 비행속도 등을 분석하는 정보도 받을 수 있다.

현재 한미 연동통제소 간에는 한반도 해상의 함정과 공중의 항공기에 관한 정보만 공유되고 있지만 올해부터는 탄도미사일 데이터가 입력되어 공유될 것이라고 정부 소식통은 설명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