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실내활동 많은 겨울철…‘쿵쿵’ 층간소음 분쟁도 증가
방문 피하고 관리소 민원 바람직

추운 날씨 탓에 실내활동이 비중이 높은 겨울철, 층간소음을 둘러싼 이웃간의 갈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층간소음 전문 컨설팅단 운영을 시작한 2014년부터 현재까지의 민원 1097건을 분석한 결과 겨울로 접어들면 상담건수가 늘어 추위가 누그러지기 전까지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고 14일 밝혔다. 2014년 10월 47건을 시작으로 11월(48건), 12월(55건), 2015년 1월(65건), 2월(63건), 3월(72건)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4월(71건) 이후 감소했다. 서울시는 다시 지난해 10월(69건) 이후 민원상담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층간소음 갈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아이나 어른이 위층에서 뛰거나 걷는 동안 발생하는 소음이 850건으로 전체의 77.5%를 차지했다. 가구 끌기나 망치질, 문 여닫기로 인한 소음(10.8%), 청소기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 소음과 피아노 소리(5.9%), 개 짖는 소리(4.6%)가 뒤를 이었다. 주거위치별로 보면 위층의 층간소음으로 아래층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821건(75.0%)으로 가장 많았다. 또 과도한 항의와 보복 소음 등을 비롯한 아래층 소음으로 인해 위층 거주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상담도 198건(18.0%)에 달했다.

서울시는 가족들이 한 곳에 모이는 설 연휴기간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갈등이 발생할 소지가 높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위층에 대해 ‘생활공간에 매트나 카펫 깔기’, 아래층은 ‘위층 소음이 심할 경우 관리사무소에 중재 요청하기’, 관리사무소에 대해서는 설 연휴 층간소음 주의사항에 대한 사전 안내방송 실시 등을 제시했다. 


강문규 기자/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