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은행, 기준금리 7개월 연속 동결…연 1.50% (종합)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재의 1.5% 수준으로 유지했다. 7개월 연속 동결이다.

중국 증시 폭락과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고 국내 경기 회복까지 부진한 상황에서 섣불리 기준금리를 내리거나 올리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14일 오전 9시 이주열 총재 주재로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헤럴드경제DB]

금통위의 이번 결정으로 기준금리는 2014년 8월과 10월, 작년 3월과 6월에 각 0.25%포인트씩 총 1%포인트 인하된 이후 7개월째 연 1.5% 수준에 머물게 됐다.

이는 ‘사면초가’에 놓인 현재의 한국 경제 상황에서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 카드로 경기 부양을 노리기 보다는 그간의 인하 효과를 당분간 지켜보는 쪽으로 신중한 선택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잇달아 발표된 경제 지표는 우리 경제가 여전히 부진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5분기 내내 0%대에 머물다, 지난 3분기에 전기 대비 1.3% 오르며 저성장 국면에서 탈출했다.

그러나 작년 은행권 가계대출은 사상 최대폭인 78조2000억원 급증해 639조1000억원으로 불어났다. 가계부채 규모는 1200조원에 육박해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할 위험이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수출도 세계 경제 침체와 저유가 등의 영향으로 타격을 받아 5년 만에 무역액 1조달러 달성에 실패했다.

여기에 중국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와 위안화 절하 등에 따른 자본 유출로 중국 증시가 폭락하면서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연초부터 터진 중국발(發) 쇼크로 국내 외환ㆍ금융시장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원ㆍ달러 환율은 달러당 1200원선을 돌파했다. 지난 12일에는 장중 1213.0원까지 치솟아 5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6일 하루를 제외하면 지난해 12월 2일부터 순매도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이 기간에 외국인은 유가증권 시장에서 약 4조30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때문에 시장 전문가들도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해 왔다. 한국금융투자협회가 국내 채권시장 종사자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8%가 이달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등 신흥국 경기 침체와 국내 경기 둔화를 우려하면서도, 가계부채 증가와 자본유출에 따른 금융안정 리스크가 확대된 상황에서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쉽게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