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은행 “가난한 나라에 필요한 것은 휴대폰이 아니라 화장실이다”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발달이 극빈국의 가난을 해결해 줄 수 없으며, 오히려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터넷 발달이 가난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술 긍정론에 대한 반박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세계은행은 최근 낸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nds)’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가난한 국가의 정부가 비즈니스 환경이나 교육과 보건, 정치를 개선하는 데 노력하지 않는다면, 정보화와 커뮤니케이션의 장점은 느껴지지 않을 것”이라며 “이러한 기초가 약한 국가에서 디지털 기술은 생산성 향상을 이루지도 불평등을 줄이지도 못했다”라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디지털 기술이 오히려 극빈국의 독점과 불평등을 강화시키고, 민주주의 발달과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봤다. 인터넷이 많은 일들을 자동화시켜주기는 하지만 노동자들이 이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오히려 독재정권과 소수 자본가들의 장악력만 커질 뿐이라는 것이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의 75%가 제대로 읽지도 못하는 말리와 우간다 같은 나라에서, 인터넷 사용법을 가르쳐줄 교육 시스템이 갖춰졌을리 만무하다고 보고서는 말한다.

이러한 시각은 인터넷이 세계의 가난을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는 마크 저커버그나 빌 게이츠 같은 기술 긍정론자의 주장과는 대조적이다. 저커버그와 게이츠는 지난해 9월 록스타 보노와 여배우 샤를리즈 테론, 지미 웨일스 위키피디아 공동 창업자 등과 함께 “사람들이 인터넷 지식과 거기에 접근할 수 있는 기기를 가지게 되면, 우리 모두를 위해 좋은 삶을 만드는 기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며 향후 40억명의 인구가 추가로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연결 선언(The Connectivity Declaration)’을 한 바 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