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원순 시장이 시정을 부시장에 맡긴 이유는?

-간담회서 밝혀 “당 분열로 마이너스 시너지 효과 가능성"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이 시정을 1ㆍ2부시장에게 맡기고 현장을 다니겠다고 말해 대권 도전을 본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박 시장은 7일 출입기자들과 간담회에서 “서울시의 행정 시스템을 시장 중심에서 부시장님이나 간부 중심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제가 간다는 게 결국 현장이고 어딜 가더라도 아이디어를 제공하겠다”며 “그런 고민이 저 개인적으로나 서울시 전체로서도 좋다”고 덧붙였다.

또 당이 분열된 것에 대해서는 “통합이 돼서 함께 가도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저렇게 분열하면 마이너스 시너지 효과가 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며 “지나치게 균형이 깨지는 것은 국민 입장에서 보더라도 적절치 않은 것은 같은데 시장으로 할일이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박시장은 “그렇다고 당대표를 맡겠다고 해 여러분께 큰 뉴스 제공해 해드리고 나라도 좀 뭔가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그럴 수는 없지 않냐”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또 저성장에 빠진 한국 경제와 관련, 성장 동력을 찾는 것과 저성장을 감내할 수 있는 자본주의를 만들어내는 것이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 정부가 지난 20년간 방향을 정말 잘못 잡았다“며“혜안을 갖고 산업을 뺏길 날을 준비했어야 하는데 지금 울산과 거제는 찬바람이 쌩쌩하고 테슬라를 보니 현대차가 큰일 났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은 저성장에 대비해 공유경제와 복지성장, 경제민주화, 시간단축형 일자리 창출에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간단축형 일자리는 올해 용역을 해 하반기에 시행할 계획”이라며 “8시간 일하다가 4시간 일하면 외식 레저 산업이 뜨고 다른 일자리가 생긴다. 개인은 전문성이 커져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중앙 정부가 누리과정을 책임지는 것이 맞다면서 “대통령이 공약을 했고 전국민에게 해당하는 보편적 정책이다. 교육청이 돈을 만들어 낼 도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 미국 대공황시절 정책을 두고 논쟁이 붙자 유람선에 여야 정치인을 태워 허드슨강을 오가면서 합의할 때까지 안 내려줬듯이 아라호에 관계자들을 모시고 한강을 오가며 해결하라고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