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초체력 떨어진 한국경제…한은 “향후 3년간 잠재성장률 3.0%대 턱걸이”
일본 저성장 닮아가나…저성장 고착화 우려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향후 3년 간 3%대에 간신히 턱걸이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는 노동력 공급 및 투자 증가율 둔화, 경제 불균형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앞으로 노동인구까지 감소하게 되면 성장 잠재력이 더욱 약화될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사진=헤럴드경제DB]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강환구 조사국 모형개발팀장은 한은 조사통계월보 12월호에 게재된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추정 결과’ 보고서에서 생산함수 접근법과 HP필터링, 준구조모형 등을 활용해 2015∼2018년 잠재성장률을 3.0∼3.2%로 추산했다.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져 2001∼2005년 4.8∼5.2%에서 2011∼2014년 3.2∼3.4%로 내려앉았다. 여기에 향후 3년 동안에도 이 같은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것이다.

또 2011∼2014년 실제 평균성장률은 3.0%로 모형별 잠재성장률보다 0.2∼0.4%포인트 낮은 모습을 보였다.

이는 2015∼2018년 실제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수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특히 잠재성장률을 총요소생산성ㆍ잠재노동ㆍ잠재자본 등 세 가지 생산요소로 산출하는 생산함수 모형에서 요소별 기여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우려를 더했다.

요소별로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2001∼2005년 2.0%포인트에서 2011∼2014년 0.8%포인트로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자료=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12월호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추정 결과’]

자본투입 기여도는 같은 기간 2.2%포인트에서 1.7%포인트로 낮아졌다. 자본 기여도는 2015∼2018년에는 1.4%포인트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 하락은 기술진보 둔화를 반영하며 서비스업의 생산성 정체, 한계기업 누증, 경제 각 부문의 불균형 확대 등에도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본투입 기여도 감사는 고정투자 증가율의 추세적 둔화 및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장기침체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도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노동투입 기여도의 경우, 2006∼2010년 0.6%포인트에서 2011∼2014년 0.9%포인트로 소폭 상승했다. 이는 장년층의 경제활동 참가 증가 및 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2017년 이후에는 노동 기여도도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향후 성장잠재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폭넓은 규제완화 및 R&D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을 통한 새 투자기회 확충,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종에 대한 대외개방 및 규제완화 등이 제안됐다.

여성ㆍ청소년 경제활동 지원과 고령층의 전문성 활용 등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일도 시급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와 함께 가계ㆍ기업 및 소득계층 간 불균형을 시정해 경제 전반의 역동성을 높이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pa@heraldcorp.com

☞잠재성장률=한 나라의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인플레이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성장률. 단기적인 경제 여건 변화나 예상치 못한 충격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에서 단기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것으로 상정하는 목표 성장률과는 다른 개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