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화토탈, 태양전지 EVA 등 고부가 글로벌 시장 확대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한화토탈이 세계 최초 관형 반응기 중합 공정을 통한 상업생산과 제 2 EVA 공장 증설 등 설비투자를 통해 고부가 EVA 제품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화토탈은 자사의 태양전지 봉지재용 EVA 제품(이하 태양전지용 EVA)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선정한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었다고 29일 밝혔다. 한화토탈은 35만톤 규모의 전세계 태양전지용 EVA 시장에서 약 35% 점유율로 1위다.


EVA(Ethylene Vinyl Acetateㆍ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는 운동화 밑창부터 태양전지 소재까지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성수지 제품으로, 태양전지 봉지재용 EVA는 초산 비닐 함량이 28% 이상인 고부가 제품에 속한다.

한화토탈은 범용 EVA 제품의 경우 향후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앞세운 중국과 규모의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다고 판단, 기술 격차를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 EVA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한화토탈은 지난해 관형 반응기 중합 공정을 적용한 EVA 2 공장을 완공하며 세계 최초로 관형 반응기 중합 공정을 통한 태양전지용 EVA 상업생산에 성공했다.

특히 관형 반응기 중합 공정은 초고온ㆍ초고압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파일럿 플랜트(새로운 공법을 도입하기 전 시험적으로 건설하는 소규모 설비) 건설이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지만, 한화토탈은 파일럿 플랜트를 대신하는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독자 개발하며 이를 극복했다.

한화토탈은 이를 통해 태양광 효율을 높이는 투명성이 월등히 높고 초고순도, 저수축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은 낮은 태양전지용 EVA 제품의 상업생산에 성공했다. 또한 오토클래이브 공정과 비교해 태양전지용 EVA 생산시 30~40% 더 높은 생산성을 확보했다.

앞서 한화토탈은 2014년 2월 연간 24만톤 생산량의 제 2 EVA 공장을 완공하며 국내 단일업체로는 최대 규모인 연간 32만톤의 EVA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한화토탈은 태양전지용 EVA 제품에서만 향후 5년간 1조5000억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화토탈 관계자는 “한화토탈의 태양전지용 EVA는 독창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퀄리티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며 “앞으로도 중국, 중동 등 경쟁국 석화사들과 격차를 벌이기 위해 고부가 제품 개발 및 시장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