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썰렁해진 대출창구…내년 만기 ‘39조’ 뇌관 될 듯
[헤럴드경제=김재현ㆍ황혜진ㆍ강승연 기자]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자 대출 시장이 급랭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에는 간간히 바뀐 제도에 대한 문의 전화 만 올 뿐 신규 대출 신청자를 찾아보기힘들었다.

이미 대출 수요자들이 가이드라인 발표 이전에 상당 부분 대출을 마친 것으로 보여지는 가운데, 내년 만기가 도래하는 주택담보대출이 39조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나 내년 이후 가계 부채 부실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헤럴드경제DB]


▶ 가이드라인 발표 뒤 썰렁해진 대출창구=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문턱이 높아지기 전 막바지 대출을 받으려는 신규 수요자의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았다.

기존 주담대 대출자 사이에서도 달라지는 제도를 알아보기 위해 은행에 문을 두드리는 이들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가계 대출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시장 반응이 지나치게 무덤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의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다음날인 15일 오후 은행 대출창구는 예상보다 조용했다. 올 3월 안심전환대출 출시 첫날 뜨거웠던 열기는 재연되지 않았다.

이날 KEB하나은행 명동지점을 방문해 보니 대출창구엔 분할상환금을 내러 온 고객 외에 40분 가량 주담대 상담이나 문의를 하러 온 고객이 없어 썰렁했다.

이후 KB국민은행 여의도지점을 찾았지만 예ㆍ적금 창구만 북적였다. NH농협은행 충무로지점에선 이달 안에 주담대를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하러 온 고객이 한 명뿐이었다.

국민은행의 경우 노원ㆍ청담ㆍ청라 등 수도권 7개 점포에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문의하는 전화가 1∼2건 온 것에 불과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강남ㆍ강북 등 서울 8개 점포에서도 문의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내년 5월 2일부터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는 지방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대구, 부산, 세종시 주요 점포에서도 가이드라인에 대한 문의가 거의 없었다.

신한은행 세종지점 관계자는 “지나가는 말로 물어보는 경우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문의하는 고객은 드물었다”면서 “유예기간이 내년 5월까지여서 바로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주담대 여신금리가 낮았을 때 대출을 받은 사람이 많아 가이드라인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농협은행 충무로지점 김국연 여신팀장은 “실질적인 여신금리가 전 은행에서 조금씩 올랐다”면서 “주담대가 필요한 고객들은 금리가 낮을 때 이미 받았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 내년 만기 도래 주담대 39조1000억 새로운 뇌관 되나= 능력만큼 빌려 처음부터 나눠갚기에 초점이 맞춰진 정부의 새로운 가계부채 대책에도 위기는 유예됐을 뿐 사라지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갚아야 할 시점을 연기해줬을 뿐 소득증가 등의 변수가 없는 한 당장 원금과 이자를 한꺼번에 내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이후 도래하는 주담대 대출이 39조원에 달해 이들 금액이 가계 부채 부실의 뇌관이 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앞서 14일 내놓은 주택담보대출 심사강화 가이드라인에서 2018년 12월31일 이전에 같은 은행에서 같은 금액 이하로 대환하는 경우에는 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상에 해당하더라도 1회에 한해 거치기간을 최장 3년까지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이번 예외규정으로 당장 가계부채 폭탄이 터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기존 주담대출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 가계 심리위축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기간을 연장해줬을 뿐 부담은 그대로라 뇌관이 터지는 시점만 연기된 셈”이라고 말했다. 올해 3분기 기준 전체 주택담보대출 중 거치식분할상환의 비중은 30%가량 차지한다. 고정금리(33.6%) 대출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변동금리 대출이 66.4%로 배 가량 높은 셈이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인상의 위험에 노출된 대출이 절반 이상이라는 얘기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주택담보대출은 39조1000억원이다.

이중 내년부터 분할상환을 시작해야 하는 거치식 분할상환 대출은 27조 4000억원에 달한다. 2017년 만기가 되래하는 주담대도 28조4000억원나 된다.

정부의 거치기간 연장 결정으로 내년 만기가 돌아오는 주담대출자는 2018년까지 분할상환이 유예되지만 가계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3년 후에도 이들의 상환능력이 좋아질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당장 2019년 가계부채 폭탄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 연 4%, 10년 상환 조건으로 2억 원을 빌린 대출자의 경우 현재는 한달에 이자 67만원만 내면 되지만 분할상환을 하게 되면 원금 167만원까지 더해 갚아야 하기 때문이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