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경제공작회의, 공급과잉 구조 완화 정책 강화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 중국경제가 내수부진, 재고증가 등으로 점차 제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이달 중순께 열리는 중국의 경제공작회의가 정책적 해결책 마련을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키움증권은 11일 “올해 경제공작회의가 제13차 5개년 계획(2016∼2020년)의 시작인 내년 경제 정책의 큰 방향을 다루는 회의로서 어느 때보다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과잉생산에 따른 기업의 구조조정, 생산의 효율성 증대, 재정확대 정책, 금융시장의 개혁과 개방의 가속화, 소비 및 신성장산업 활성화, 주택재고, 환경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생산부문에서는 공급과잉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가 나올 수 있을 것이며, 소비부문에서는 재정확대 및 금융완화 정책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제성장률 목표치에 대해서는 다소 하향조정할 가능성이 있으나 경제의 연착륙을 위한 경기부양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제조업 부문에 있어서는 구조조정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국가통계국(NBS)/물류구매협회(CFLP)의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치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49.6을 기록하며 2012년 9월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1월 차이신 제조업 PMI 지수는 전달보다 0.3포인트 상승한 48.6을 기록, 2개월 째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9개월 연속 50 미만에서 머무르고 있다. PMI는 50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50미만은 경기 수축을 의미한다.

대형기업의 PMI 지수는 전월비 개선됐으나, 중소형 기업은 악화됐다. 중형기업과 소형기업은 각각 4개월, 16개월 연속 위축된 업황을 반영했고 중소형기업의 지수는 통계이래 최저수준을 기록, 정부의 중소기업 부양을 위한 재정정책(세제)과 통화조절장치를 활용한 금융지원 정책이 출시될 것이라고 키움증권은 판단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