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술보증기금 ‘맞춤형 창업 우대보증’ 효과 좋네
- 1억당 매출 기여도 2.24억원, 고용 창출 2.21명


[헤럴드경제=김재현 기자]기술보증기금은 10일 ‘맞춤형 창업 우대보증’의 지원성과를 분석한 결과 보증금액 1억원 당 매출 기여도가 2.24억원, 고용창출 효과 2.21명으로 일반창업보증(매출 기여도 1.86억원, 고용창출 1.87명)에 비해 지원성과가 우수했다고 밝혔다. 기술보증기금은 이번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분야를 추가로 발굴하고 조정해 창업ㆍ성장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맞춤형 창업 우대보증(이하 ‘맞춤형 보증’)’은 2009년 7월 도입된 기술보증기금의 대표적인 창업지원 제도로, 중점 지원이 필요한 창업분야를 선정해 ▲창업기업 특성에 맞는 기술평가모형 적용 ▲보증비율 상향적용(85%→최대 100%) ▲보증료 감면(0.5%p 이내) ▲신용도 검토 완화 등을 통해 우대지원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은 성과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분야를 ‘지식문화, 이공계챌린저, 기술경력ㆍ뿌리창업, 첨단ㆍ성장연계 창업’의 4개 분야로 조정하고, 중점 육성이 필요한 분야를 우대 대상에 추가해 지원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조정에 따라 ‘첨단ㆍ성장연계 창업’분야에 중소기업청의 창업지원사업 선정기업과 사물인터넷(IoT)관련기업이 새롭게 추가된다. 중소기업청의 창업지원사업은 창업기업의 데스밸리 극복과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고, 사물인터넷(IoT) 관련기업은 차세대 성장유망 분야로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술보증기금는 ‘기술경력ㆍ뿌리창업’의 대표자 연령 요건을 완화(55세→59세 이하)하고, ‘이공계챌린저’ 대상에 전문가 창업기업을 포함하여 창업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기로 하였다.

기술보증기금는 기술창업 지원 전문기관으로서, 매년 신규보증의 50% 이상을 기술창업기업에 지원하는 등 창업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통해 대표적 창업보증 제도인 맞춤형 보증의 지원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됐으며, 앞으로도 신규 맞춤형 분야 발굴과 제도 개선을 통해 기술창업 활성화와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밝혔다.

mad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