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테러에 경제난에…“프랑스ㆍ베네수엘라 너 마저” 좌파의 몰락
[헤럴드경제=이수민 기자] 세계 곳곳에서 좌파가 무너지고 있다. 유럽 대륙에서는 반(反) 난민 정서와 암담한 경제 상황에 좌파의 실험이 좌초위기에 직면했으며, 한 때 12개국 중 10개국에 좌파정권이 들어서며 ‘좌파블록’을 형성했던 남미 대륙에선 포퓰리즘 정책으로 인한 경제난 심화가 좌파의 몰락을 자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럽 좌파의 산실로 여겨지던 프랑스는 파리 테러 이후 반(反)이슬람 정서가 극에 달하면서 극우정당에 힘이 쏠리고 있다. 특히 파리 테러 후 1개월도 지나지 않아 6일(현지시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는 극우정당인 국민전선(FN)이 27.7%의 최다 득표율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파리 테러’로 반이슬람 정서가 강해진 프랑스에서 국민전선의 ‘반이민’ 주장이 크게 지지를 얻은 것으로 분석된다. 마린 르펜 국민전선 대표가 도지사 후보로 출마한 북부 노르파드칼레피카르디에서 40%가 넘는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한 것도 이를 반영한다. 노르파드칼레피카르디는 칼레 난민촌이 위치한 지역으로 난민에 대한 반감이 크다.

유럽에서의 ‘우파 물결’은 이미 조짐을 보여 왔다. 지난달 8일 치러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도 난민에 강경 대응하는 중도우파 야당연합 크로아티아민주동맹(HDZ)이 최다 득표를 하면서 중도좌파인 사회민주당(SDP) 집권 정부를 눌렀다.

앞서 10월 25일 폴란드 총선에서도 보수 성향의 ‘법과 정의당’(Pis)이 정부의 난민 수용 정책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며 정권 교체에 성공했다.

좀처럼 풀리지 않는 경제 상황이 난민 유입과 얽히면서 우파 득세에 힘을 실어줬다. 난민들이 본토인들의 몫을 가져가고 있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좌파 정권에 대한 등돌리기가 가속화됐다.

좌파 정권의 상징과도 같던 남미도 변했다.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경제난이 주된 이유다. 재정이 어려워지자 복지를 강조하는 좌파 정권이 역풍을 맞았다.

베네수엘라에서는 7일 야권 연대인 민주연합회의(MUD)가 전체 의석 167석중 113석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돼 집권 통합사회주의당(PSUV)의 54석을 누르고 16년만에 정권 교체를 이끌어 냈다.

지난달 22일 치러진 아르헨티나 대통령선거에서도 중도우파 성향의 후보가 집권 좌파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되는가 하면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발표되는 등 남미 좌파 정권은 최근 차례로 힘을 잃어왔다.

남미의 우파 득세에는 석유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극심해진 경제난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베네수엘라는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율과 생활필수품 부족 등 경제난이 가중됐다. 민생 범죄도 기승을 부리기 시작했다.

북미 지역도 예외로 볼 수는 없다. 미국 또한 표면적으로는 좌파 정권이 집권하고 있지만 민주당과 공화당의 싸움이 실질적으로는 중도우파와 우파, 혹은 우파와 극우파의 대립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집권 민주당이 공화당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파일 뿐 완전한 좌파로 분류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향후 정치 지형이 크게 변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난민에 대한 봉쇄는 강해지고 노동 개혁과 경제 살리기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란 분석이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