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강신도시 자원화센터 운영권 놓고 김포시와 민간업체 갈등
[헤럴드경제=박일한기자] 한강신도시 자원화센터(폐기물 처리시설) 운영을 둘러싸고 김포시와 민간업체들 간에 갈등이 일고 있다. 김포시가 애초 민간에 운영을 위탁하려 했으나 돌연 산하 기관인 김포도시공사에 맡기기로 했기 때문이다. 민간업체들은 자원화센터 운영 경험이 전무 한 김포도시공사에 맡기면 비효율적이고 안전하지 않다며 애초 계획대로 민간 입찰을 통해 운영 업체를 선정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3일 김포시에 따르면 김포시는 내년 2월 말 위탁 운영이 종료되는 한강신도시 자원화센터를 산하기관인 김포도시공사에 맡기기로 했다. 자원화센터는 2013년 10월부터 이 시설을 시공한 GS건설이 시범 운영을 맡아왔는데 오는 2016년 2월 계약이 종료된다.

시 관계자는 “애초에 민간 입찰을 통해 자원화센터 운영을 맡기기로 했으나 재정적 측면이나 공익적 차원에서 김포도시공사에 맡기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해 최종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포시는 당초 자원화센터가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특수시설이란 점을 고려해 민간 전문업체에 운영권을 주려고 준비했다. 경험이 풍부한 민간에 위탁하면 소각시설 수명이 연장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운영비 절감 효과도 클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 7월 시 조례를 개정해 자원화시설 운영 자격을 애초 ‘김포도시공사와 시공사’로 한정되던 데서 ‘동일 규모 이상의 폐기물처리시설을 1년 이상 운영한 경력이 있는 자‘로 확대했다.

조례 개정을 승인한 시의회는 공정한 절차를 통해 내실 있는 민간 위탁업체를 선정하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민간업체들은 이에따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입찰을 적극 준비했다. 하지만 김포시는 몇 개월만에 공개 입찰을 하지 않고 김포도시공사에 자원화시설 운영권을 주기로 결정했다. 입찰 참여를 준비하던 민간업체들은 당혹스러운 모습이다.

한 민간업체 관계자는 “시 조례까지 고쳐 민간 참여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하더니 갑자기 계획을 철회해 난감하다”며 “김포도시공사는 ‘1년 이상 운영 경험’ 등 민간에 부과한 운영 자격 요건에도 맞지 않는다. 애초 계획대로 민간 참여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민간업체들은 자원화센터 운영 경험이 없는 김포도시공사가 운영을 하면 사고 위험이 커지고, 운영비용도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운영 미숙으로 사고 위험에 노출되면 환경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고, 소각로를 꺼뜨릴 경우 LNG등 보조연료비가 대폭 상승하기 때문이다.

민간업체 관계자는 “민간에 경쟁 입찰을 하면 운영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데, 왜 경험없는 김포도시공사에 운영권을 주려는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포시는 민간업체들의 이런 우려에 대해 기우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김포도시공사에서 현재 GS건설의 하청을 받아 자원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기술자들을 스카웃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김포시 관계자는 “현재 자원화센터에서 일하는 기술인력 대부분이 김포도시공사 직원으로 남아 계속 운영에 참여할 것”이라며 “민간에서 우려하는 안전성이나 비효율성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포시 자원화센터는 한강로4가에 위치한 지하 1층에 지상 2층 규모로 쓰레기 처리 시설이다. 한강신도시에서 발생하는 하루 84t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 소각로 2기와 40t의 음식물을 처리하는 소각로로 구성돼 있다. 수영장 헬스장 스포츠용품점 등 편익시설도 갖춰져 있다. 연간 80억원 정도의 운영비가 들어간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