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제주 신공항 건설로 국제화·관광산업 선도해야
25년을 끌어오던 제주 공항 확충 논란이 신공항을 건설하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4년까지 서귀포시 성산읍 신사리와 온평리 일대에 제2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10일 공식 발표했다. 기존 공항 확장 등 다양한 대안을 검토했으나 새로 공항을 건설하는 것이 비용과 환경훼손 정도, 주민 여론 등을 감안할 때 최적의 방안이라고 본 것이다. 제 2공항이 개항 되면 연간 2500만명의 여행객을 추가로 소화할 수 있어 현 제주공항의 극심한 적체 현상이 한결 해소될 전망이다.

제주공항 추가 건설은 만시지탄이 아닐 수 없다. 지난 2012년 1844만명에 달하던 제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2320만명으로 늘어났고, 올해는 25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추세라면 국제선은 268만명에 달하는 2016년에, 국내선은 2343만명에 이르는 2017년에 각각 포화 상태가 된다. 저가 항공사의 등장과 중국인 관광객 유입 등으로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러다 보니 ‘관광 제주’라는 명성이 무색할 정도로 진출입 불편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비행기 증편이 어려워 내국민 조차 좌석을 적어도 한 달전에는 예약을 마쳐야 한다. 비행기 연착과 지연도 다반사다. 올 1월부터 10월까지 제주공항의 지연 항공기는 무려 1만6179편에 달했다. 이 중에 활주로 등 공항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연결 문제가 95.1%나 된다. 제주가 국제적 관광지역으로 발전하는 데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제2공항 건설이 결정됐지만 풀어야할 과제 역시 만만치 않다. 우선 국책 사업을 둘러싼 반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세계 최고의 명품공항인 인천국제공항도 건설 초기 지역주민 등의 반대가 심했다. 공항 뿐 아니라 고속도로, 원전 및 송전탑 건설 등을 놓고 빚어진 주민과 시민ㆍ환경단체의 반발이 거세다. 제주라는 지역적 환경적 특수성을 감안하면 주민과 갈등으로 자칫 개발에너지를 상실할 수도 있다. 외부 시민단체까지 개입해 갈등을 증폭시킨 강정마을 해군기지건설의 경우 수백억원대의 지체보상금을 세금으로 물어줘야할 판이다.

당국은 개발 당위성을 주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는 것은 물론 보상 현실화와 환경파괴 최소화를 설득의 제1 조건으로 해야 한다. 제주도민의 숙원사업이고 국제화의 필수조건인 만큼 주민들도 대승적 차원에서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다. 정부 당국과 제주도, 지역주민들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