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존 최고(最古) 고려시대 먹(墨), 보물 지정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먹(墨)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丹山烏玉’銘 高麗 墨)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880호로 지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먹은 1998년 청주시 동부우회도로 건설공사 구간 내 명암동 1지구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목관묘에서 출토됐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 먹이다. 


규격은 길이 11.2cm, 너비 4cm, 두께 0.9cm이며, 먹의 머리를 둥글린 비석 형태이다. 앞면에는 먹의 이름을 써넣은 규각형(圭角形, 윗부분이 뾰족한 직사각형)의 공간이 있고, 그 가장자리에는 물결무늬가 중첩돼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용이 날아오르는 모습을 우아한 곡선으로 표현한 비룡문이 조각돼 있다.

출토 당시 이 먹은 무덤 주인의 머리맡 부근 철제가위 위에 반으로 조각난 채 놓여 있었는데, ‘단산오(丹山烏)’라는 글자가 세로로 쓰인 면이 위쪽으로 놓여 있었다. ‘오(烏)’자 밑에는 ‘옥(玉)’의 첫 획으로 추정되는 ‘일(一)’자 획이 보이는데, 이는 먹을 갈아 사용하면서 닳고 남게 된 획으로 보인다.

‘단산(丹山)’은 단양의 옛 이름이고, ‘오옥(烏玉)’은 먹의 별칭인 ‘오옥결(烏玉玦)’의 약칭이다. 단양 먹은 『세종실록』, 『동국여지승람』등에서 “먹 중에서 가장 좋은 먹을 단산오옥(丹山烏玉)이라고 한다.”라고 기록할 정도로 가장 우수한 먹으로 꼽혔다.

한편 원나라 도종의(陶宗儀)가 지은『철경록(輟耕錄)』에 의하면, 고구려가 송연묵(松烟墨, 소나무를 태울 때 생기는 그을음으로 만든 먹)을 당에 세공(歲貢)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있어,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에 이미 먹을 제작,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이 체계적으로 보존,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관리자 등과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