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암코 ‘4조원 실탄’ 확보…28조원 규모 구조조정 가능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관리 회사인 연합자산관리공사(유암코)가 4조원의 재원으로 내달부터 부실기업 구조조정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유암코는 채권은행 및 민간자본을 합쳐 최대 28조원 상당의 구조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회사로 거듭나게 된다.

금융위원회와 유암코, 신한ㆍKEB하나ㆍIBK기업ㆍKB국민ㆍ우리ㆍ농협ㆍ산업ㆍ수출입 등 8개 은행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 설립ㆍ운영방안을 22일 발표했다.

금융위는 당초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를 신설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채권은행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관리 회사인 유암코를 확대 개편하는 쪽으로 최근 방향을 선회했다. 기업구조조정을 채권단 주도가 아닌 민간주도로 전환, 시장 중심의 상시적 기업구조조정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이 이번 방안의 골자다. 정부의 입김을 최소하고 시장에서 채권자들이 자율적으로 합의해 구조조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얘기다.

▶재원 4조원으로 늘리고…전담조직 신설, 지배구조 개편=금융위는 먼저 은행 출자약정을 기존 1조원에서 1조2500억원으로 증액하기로 했다. 현재 유암코의 납입자본금은 4860억원 가량인데 약 7000억원으로 증액된다.

현재 유암코는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이 각 1750억원씩,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이 1500억원씩을 출자 약정한 상태다. 금융위는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의 출자 약정을 1750억원으로 늘리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각각 1750억원과 250억원을 신규 출자토록 할 계획이다.

대출약정은 기존 5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1조5000억원이 불어난다. 이에 따라 유암코의 자본 운용 규모가 3조2500억원으로 늘어난다.

손병두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현재 기업구조조정은 채권은행 주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회사채 투자자 등 비협약채권자 증가, 채권은행간 이견 등으로 한계에 직면한 상태”라며 “유암코를 통해 시장 주도의 구조조정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향후 주주은행과 협의해 출자 및 대출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암코는 기존 부실채권(NPL) 처리와 마찬가지로 PEF를 설립하는 방식으로 기업 구조조정에 착수할 계획이다.

유암코는 무한책임사원(GP)으로 PEF 경영을 맡고, 민간 투자자가 원할 경우 공동GP가 될 수도 있다. 유한책임사원(LP)으로는 채권은행과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 사모펀드 등이 참여한다.

유암코가 설립하는 PEF는 채권은행으로부터 부실기업 채권을 사들인 뒤 그 기업을 정상화해 되파는 방식으로 수익을 낸다. 유암코와 채권은행이 채권 매매 가격을 놓고 이견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회계법인이 평가금액을 결정하는 방식을 활용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유암코가 약 28조원 규모로 기업구조조정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3조2500억원을 재원으로 PEF를 설립하고, PEF마다 지분을 30~50%씩만 투자한다면 운용 규모가 최대 14조원으로 늘어난다. 구조조정 채권 및 주식을 액면가의 50~70%로 매입한다고 가정하면 운용 규모가 12조~28조원에 달한다는 것이 금융위의 분석이다.

▶시장친화적 구조조정 시스템 구축 = 유암코는 투자사업본부, 자산관리본부 외에 기업구조조정본부를 신설하고 구조조정자문위원회를 구성된다. 또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를 구성하기로 했으며, 기존에는 실적 인센티브가 없어 열심히 일할 동인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따라 보상위원회를 신설해 성과주의를 확립하도록 할 계획이다.

유암코는 이달내 구조조정 자문위원회를 설치하고 다음달 중 주주간협약서를 통해 추가 출자, 대출약정 등을 확정할 방침이다.

구조조정 사업은 11월부터 시작된다. 11월 중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물색하고 실사 및 평가기간, 매각은행과의 협약 등을 거쳐 내년초까지 구조조정 기업 채권, 주식 인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사회 구성 등 지배구조 개편은 내년 3월 마무리되며 출자는 내년 4월 안에 끝내는 것이 목표다.

손병두 국장은 “채권은행은 부실채권을 매각함으로써 구조조정에 대한 부담을 덜고 궁극적으로는 시장 주도의 기업 구조조정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