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더스카페]윤내현 교수의 고조선 연구의 결정판
고조선 연구 (상)/윤내현 지음/만권당
조선후기 역사학자 안정복은 역사책 ‘동사강목’을 기자조선에서부터 서술해 나갔다. 단군조선은 사실을 확인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이를 뒤집은 책이 1989년 나온 윤내현 교수의 ’한국고대사신론’이다. 1979년에서 1981년까지 하버드대 인류학과 객원교수로 연구할 기회를 얻은 윤 교수가 하버드대 옌칭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조선에 대한 방대한 중국 사료와 북한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을 접하고 연구 끝에 고조선이라는 고대 국가가 실존했음을 밝힌 것이다. 당시 고대사 연구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이 책이 개정판으로 나왔다.

저자는 고조선의 시련과 한국사의 왜곡을 우리 민족의 시련에서 찾는다.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고조선은 한민족의 의식에 깊이 자리했으나 천자를 중심으로 한 유가의 세계질서를 받아들이면서 고조선에 대한 의식이 약해져 끝내 부정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일제에선 고조선은 물론 기자 조선까지 부인함으로써 한국고대사 말살이 이뤄졌다. 고조선에 대한 혼란은 사실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대제국으로 과대포장하는가 하면 단군조선을 부인하고 기자조선을 고조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단군조선과 위만조선, 한사군을 합쳐 고조선이라고 부르는 학자도 있다. 저자에 따르면, 단군조선만이 고조선이다. 저자는 고조선의 건국을 ‘삼국유사’와 ‘제왕운기’ 기록에 따라 서기전 24~23세기 무렵으로 제시한다. 한 국가가 2300여년 긴 기간 지속된데 대한 의문은 중국과 다른 한국적 특징으로 제시한다. 또 저자는 고조선, 위만조선, 한사군으로 이어지는 체계의 오류도 꼼꼼하게 짚었다. 위만조선이나 한사군은 한반도에 있지 않았고 고조선의 뒤를 잇지도 않았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고조선의 서부 변경, 지금의 요서 지역에 위치했으며, 고조선이 이들에게 영토를 일부 뺏기기는 했지만 중심부가 붕괴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이번 개정판은 ‘한국고대사신론’ 출간 이후 다른 학자들의 의견을 청취, 몇 가지 수정작업을 거쳐 펴낸 고조선 결정본이라 할 만하다. ‘고조선 연구’는 상하로 나뉘어 이번에 상 권이 먼저 나왔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