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려대 역사 교수들도 “국정교과서 집필 불참”…집단 보이콧 가속화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정부가 중ㆍ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사학계 교수들의 국정교과서 집필 불참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14일 고려대 역사계열 교수 22명은 성명서를 통해 “향후 진행될 국정 교과서 제작과 관련된 연구 개발, 집필, 수정 검토를 비롯한 어떠한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성명에 참여한 교수는 한국사학과와 사학과, 역사교육과 교수 18명 전원과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4명 등이다.

이들 교수는 “한국사 교과서는 최근 들어 정부와 여당에 의해 이념 논쟁과 정쟁의 수단으로 변질됐다”며 “2013년 정부와 여당은 친일과 독재 미화로 지탄받은 교학사 교과서를 무리하게 통과시키며 검인정제도를 크게 훼손시켰을 뿐 아니라 억지춘향으로 통과시킨 교학사 교과서가 학계와 교육계로부터 질타를 받고 교육현장에서 사실상 채택되지 않자 끝내 국정화라는 무리수를 두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간 역사학계와 역사교육학계, 중등교육의 책임자인 교육감과 교사, 역사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 시민단체 등은 지속적으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반대해 왔다”며 “검인정제가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에 적합하다는 사실은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비롯해 누누이 지적된 바”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많은 이들이 상식적 차원에서 반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부 여당이 일방적으로 국정화를 강행하는 것은 집권세력의 당리당략적 이해 추구 외에 그 이유를 달리 찾을 수가 없다”며 “새로 만들어질 국정 교과서는 정부 여당이 말하는 이른바 ‘올바른 한국사 교과서’가 아니라 최고 권력자와 정부 여당이 그 기준을 제시하는 ‘편향된 교과서’가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고려대학교 역사계열 교수 일동은 학자적 양심과 역사교육의 정상화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와 관련된 일체의 과정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다시 한 번 명백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날 연세대 사학과 교수 13명 전원과 경희대 사학과 교수 9명 전원도 국정교과서 집필 불참 선언을 한 바 있다. 서강대와 서울대 등에서도 교수들이 집필 불참 선언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