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10회 임산부의 날] 임산부에 대한 배려 없는 대한민국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10월10일 제10회 임산부의 날을 맞아 기자는 서울 송파구 장지동의 송파산모건강증진센터를 찾았다.

임신체험복을 입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 1시간 가량 임산부 체험을 해보기 위해서였다.

임신체험복은 ‘아기띠’ 형태로 배와 가슴에 총 10㎏의 장치들이 달려있었다. 

제10회 임산부의 날을 맞아 본지 기자가 송파구 장지동의 송파산모건강증진센터를 찾아 임신체험복을 착용했다. 기자는 이날 임신체험복을 입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 1시간 가량 임산부 체험을 진행했다.

센터 관계자는 “여성이 임신을 하면 이 정도의 체중이 배와 가슴 등에 붙는다”고 설명했다.

‘걱정했던 것 보단 가볍다’는 생각이 깨지기까진 채 15분이 걸리지 않았다. 10㎏의 ‘임신체험복’은 온 몸을 옥죄는 작은 감옥이었다.

어깨와 복부를 짓누르는 무게는 첫 5분동안은 ‘깃털’이었지만, 이후 점점 무거워지더니 나중엔 ‘돌덩이’처럼 느껴졌다.

사실 기자는 척추측만증 때문에 예전부터 허리가 좋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임신체험복 착용 후 10분이 지나자 허리에 둔한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허리를 뒤로 젖히다보니 자연스레 허리로 모든 무게가 가해졌기 때문이었다.

비단 척추측만증이 아니더라도, 센터에서 만난 임산부들은 “임신 후 요통을 앓는 건 흔한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걷는 것도 쉽지 않았다. 고작 배에 둥그런 것을 하나 더 얹었을 뿐인데 걷는 속도가 현저히 낮아졌다. 계단을 오르내리는 건 더욱 힘들었다.

내려갈 때마다 무릎에 하중이 쏠려 절로 시큰거렸다.

이 뿐만이 아니었다. 커다란 ‘배’ 때문에 허리를 숙여 뭔가를 줍거나 바닥에 털썩 주저앉는 등 자세를 쉽사리 바꾸는 일도 어려웠다. 실제 아이가 배 안에 있었다면 더욱 힘들었을 게 분명했다.

이날 센터에서 만난 임산부들도 기자와 유사한 고통을 호소했다. 한 임산부는 “배의 무게에 눌려 똑바로 눕는 것도 못 한다”고 털어놨다.

임산부들은 특히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시 불편함이 적잖다고 지적했다. 자리를 양보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에서 고육지책으로 지하철 내 이른바 ‘핑크카펫’으로 불리는 임산부 배려석을 만들었지만, 10번 중 8~9번은 임산부가 아닌 승객들 차지다.

양보를 기대하는 것도 쉽지 않다. “양보는 개인의 자유고 양심에 호소할 수밖에 없는데, 임산부 좌석이 존재함으로써 외려 괜한 기대나 야속한 마음을 품게 되는 것 같다”는 얘기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임신한지 이제 막 1개월에 접어든 김모(34ㆍ여) 씨는 “임산부 배려석의 실효성에 대해 나를 포함한 많은 임산부들이 의문을 갖고 있다”며 “배지의 존재도 모르는 사람이 부지기순데 핑크배지를 단다고 해서 양보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진 않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매번 택시를 타기엔 금전적 부담이 상당하다. 불편도 없잖다.

출산한지 3일 된 김모(29ㆍ여) 씨는 “누가 봐도 만삭의 임산부인데도 기사들이 이를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해 과속방지턱 등을 거칠게 넘을 때가 있다”면서, “그때마다 배에 충격이 고스란히 전해져 배가 땡기는 등 힘들 때가 많다”고 털어놨다.

이에 대해 김 씨와 함께 센터를 찾은 남편 류모(32) 씨는 “핑크 카펫을 만들 게 아니라 그 예산으로 카카오톡 등과 연계해 콜택시를 부를 때 아예 임산부임을 표시해준다거나, 임산부들에게 택시비 등을 지원해주는 게 더 실효성 있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