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뺏는 조폭 줄고, 기업형 범죄집단은 늘었다
- 패싸움ㆍ칼부림 대신 주가조작
- 전국 조폭 213개파, 5400명 추정…범죄 지능화, 구속자는 감소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최근 사정당국의 ‘조폭(조직폭력배)’ 단속이 강화되면서 길거리 한복판에서 칼부림이나 패싸움을 벌이는 이른바 ‘깎두기’들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눈에 띄는 폭력 대신 주가조작 시도를 비롯해 기업사냥ㆍ탈세ㆍ횡령 등 ‘화이트칼라’ 범죄를 저지르는 조폭은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다. 

사진=헤럴드DB

특히 이들이 합법을 가장하고 버젓이 중견기업 최고경영자(CEO)로 행세하는 등 우리 일상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는 점에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검찰청의 검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적발된 조직폭력사범은 총 2103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 구속된 사람은 313명으로 전체 15% 정도에 불과했다.

지난 2001년의 경우 전체 적발사범 2435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1348명이 구속된 것과 비교하면 십여년 동안 조폭 사범 구속률이 30%포인트 가량 낮아진 것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조폭 숫자는 지난 5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황인자 새누리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경찰 관리대상 폭력조직 현황’에 따르면 올해 9월 현재 전국에서 활동 중인 조폭은 213개파, 5342명에 달했다.

2010년 216개파(5438명)와 비교해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통계에서 관리 대상으로 산정되지 않은 신흥 조직을 포함하면 실제 각 지역에서 활동하는 조폭은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흥 조직을 필두로 기존 조직들이 일상 속으로 숨어들면서 단속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검찰이 지난해 발표한 조폭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영리형 범죄는 2001년 13건에서 2013년 307건으로 2261%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전통적인 ‘갈취형 조폭’에 대한 단속은 2001년 1136건에서 2013년 171건으로 84.9% 급감했다.

실제 올해 초 고 김태촌씨의 양아들로 범서방파에서 행동대장 역할을 했던 김모(45)씨가 ‘경제사범’으로 변신해 검찰에 구속기소되기도 했다.

김씨는 기업 인수합병 전문브로커 최모씨 등과 짜고 2012년 11월 위조지폐감별기 제조사 S사를 인수해 회삿돈 200억여원을 빼돌려 사채를 갚았고, 이로 인해 코스닥 상장사였던 S사는 2013년 상장폐지됐다.

김씨는 중견기업의 실질적 경영주로 활동하며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활용해 37억 6000만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도 받았다.

지난 8월에는 주식 담보 가격을 높여 코스닥 상장사 주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한 조폭 일당 11명이 금융감독원에 대거 적발되기도 했다.

지방 유명 폭력조직인 이들은 인수ㆍ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온 에너지 시설업체 E사를 무자본 M&A의 표적으로 삼고 초단기 소량 매매 방식으로 주식을 팔다가 당국에 덜미를 잡혔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