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요타, 자동운전 실험차량 공개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도요타자동차는 6일 2020년쯤 실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자동운전 실험차(Highway Teammate)를 사용해, 도쿄의 고속도로에서 모의주행을 실시했다.

도요타는 자동운전을 ‘Mobility Teammate Concept’로 정했는데, 사람과 차량이 같은 (주행)목적으로, 어느 때는 지켜보고, 어느 때는 서로 돕는, 마음이 통하는 동료(파트너)와 같은 관계를 구축하는 토요타 독자적인 자동운전의 콘셉트이다. 이번에 공개한 ‘Highway Teammate’는 이 콘셉트 구현을 위한 첫 번째 행보다.

도요타의 한 연구원이 도쿄 도시 고속도로에서 손을 놓고 자동운전을 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토요타]

렉서스 GS를 기초로 개조한 ‘Highway Teammate’는 고속도로 램프 입구부터 램프 출구까지 자동 주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실제 교통 상황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이 적절하게 인지-판단-조작함으로써, 고속도로에서 합류ㆍ차로와 차 간격 유지ㆍ차로변경을 등을 실현했다.

실제 주행에서는 ETC(우리의 ‘하이패스’에 해당) 게이트 통과 후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해 자동운전으로 전환했다.

우선 차량에 탑재된 자동운전 시스템은 고정밀 지도의 정보 조회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한다. 또 주변 장애물이나 주변 차량의 상황을 차량의 각 부분에 탑재한 복수의 센서로 인식해, 목적지에 따른 루트나 차로를 선택한다.

이러한 입력 정보에 근거해 ‘Highway Teammate’는 마치 사람이 운전하는 것처럼 주행 라인과 목표 속도를 생성한 후에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조작한다.

이를 통해 고속도로 교차로에서 차로 분류, 그 후의 합류, 출구로 나가기 위한 차로변경, 차로와 차간 거리 유지 등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현한다고 도요타는 설명했다.

도요타는 1990년대부터 자동운전 기술의 연구개발을 수행해 왔다. 목적은, 모빌리티 사회의 궁극의 목표인 ‘교통사고 사상자 제로’에 대한 공헌과 노령자와 장애인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요타 독자적인 자동운전의 콘셉트를 이번에 ‘Mobility Teammate Concept’로 발표했다.

도요타는 핵심 기술로 ▷고도의 인식-예측 판단을 하는 ‘운전 지능(Driving Intelligence)’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 통신을 활용해 안전 운전을 지원하는 ITS Connect를 비롯한 ‘연결지능 (Connected Intelligence)’ ▷운전자 상태 인식, 운전자와 차량의 상호 운전 소통 등을 행하는 ‘사람과 차량의 상호협조(Interactive Intelligence)’의 3개 영역을 지향하고 있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