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서울살이 수당’ 달라고 생떼쓰는 황당한 서울시노조
전국공무원노조 서울시청지부가 6일 ‘대도시 근무수당’을 신설해야 한다는 황당한 주장을 들고 나왔다. 서울시 노조는 이날 서울시에 대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를 위해 서울시를 방문한 국회의원들에게 ‘서울시 공무원 생활임금 법제화’를 요구했다. 서울은 다른 지역에 비해 교육비와 주거비 등 생활비 부담이 높아 적어도 18% 이상의 임금 보전이 필요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노조가 이같은 주장은 서울시가 제시하는 이른바 ‘서울형 생활임금’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서울시는 대도시 물가수준을 감안해 올해의 경우 현행 최저임금의 118%를 생활임금으로 산정해 본청과 산하기관이 직접 고용한 기간제 근로자에게 적용하고 있다. 고용주인 서울시가 그런 결정을 했으니 정규직 공무원인 자신들에게도 똑같이 적용해 달라는 소리다. 그래야 수백대 1의 경쟁률을 뚫고 공직에 입직한 공무원들이 ‘내재적 가치’를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시 공무원들이 빠듯한 수입으로 서울살이를 하려면 적지않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란 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수긍이 간다. 치솟는 주거비와 등골을 휘게 만드는 사교육비 등을 월급으로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다. 하지만 생활비가 더 많이 든다고 이를 급여로 보전해 달라는 건 억지스럽고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런 어려움은 서울시 말고도 정부 중앙부처 등 서울에 근무하는 다른 공무원들도 마찬가지다. 더욱이 공무원 처우에도 미치지 못하는 민간기업 근로자들은 사정이 훨씬 좋지 않다. 서울시 노조 논리라면 이들에게도 ‘대도시 근무수당’을 줘야 한다.

무엇보다 서울시 공무원들의 ‘서울 근무’는 누가 떼밀어서가 아니라 전적으로 자신의 선택이었다. 서울은 물가가 높아 힘든 점은 있지만 교육과 문화 등 거부할 수 없는 또 다른 매력들이 있다. 이런 이점은 고스란히 누리면서 생활비를 지원해 달라는 것은 지방 공무원들 입장에선 염치없는 배부른 투정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니 전국공무원노조 조차 “전체 입장이 아니며, 형평성 차원에서 다른 지방공무원의 반발이 있을 수 있다”고 선을 긋는 것이다.

공무원 평균임금(415만원)은 결코 많다고 할 수 없지만 대기업보다 못할 뿐이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하면 월등한 수준이다. 게다가 정년까지 신분을 보장받고 공무원연금이란 엄청난 특혜가 있다. 삶의 질이 가장 높은 직종이 공무원이란 조사 결과도 있다. 서울생활비를 더 달라고 생떼를 쓰는 건 극심한 이기주의일 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