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스포츠 칼럼-박영상] 저널리즘과 인터넷 신문
정부에 등록된 정기간행물 숫자는 작년 말 현재 1만7600여 개에 이른다. 신문 374, 통신 18, 주간지 3289, 월간지 4905 그리고 인터넷 신문이 5950개 이다. 인터넷 신문은 2005년 286개를 시작으로 매년 말 그대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매체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매체 수가 많다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가? 좋을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매체 수가 많으면 다양한 의견이나 뉴스를 전할 수 있다. 자유민주 언론이 지향하는 다양성(diversity)이나 다원성(pluralism)이 구현될 수 있는 바탕이 만들어 질 수 있다는 쪽에서 긍정적이다. 반대로 너무 많으면 사회 커뮤니케이션 유통구조가 혼탁해 지고 지나 친 경쟁으로 사회 불안을 촉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부정적이다. 매체 수보다는 그들이 생산해 내는 뉴스나 정보의 질이 얼마나 좋으냐가 더 중요한 기준이다.

얼마 전 광고 관련 단체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유사언론의 횡포를 규제해 달라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들은 사이비/유사 언론의 횡포가 도를 지나쳐 업무를 제대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기다렸다는 듯이 등록 요건 강화 등 법률이나 제도 정비를 하겠다는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이비 언론의 횡포나 일탈 행위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기사를 안 쓰거나 내리는 것을 조건으로 협찬이나 광고를 요구하거나 이미 다른 매체가 보도한 것을 재탕하여 기업을 곤궁으로 몰아 놓고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더구나 포털과 제휴를 한 사이비 언론의 횡포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전해진다.

이런 폐해를 알지만 규제할 마땅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광고 관련 단체들은 이런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포털도 언론사로 간주하여 관련법의 적용을 받게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 포털이 단순 중개자의 역할을 넘어 편집권까지 행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을 규제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다. 주요 정부 기관이나 대기업에 출입하는 기자가 수백명에 이른다. 또 전국 웬만한 중소도시의 신문사 수가 평균 10여개에 달한다. 신문사 소유주는 그 지역 사업가 출신이 대부분이다. 뉴스를 만드는 신문이 아니라 기업의 방패나 지렛대로 신문을 이용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극도의 정파주의, 자사 이기주의, 룰이 없는 경쟁 등으로 저널리즘 근본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는 것이 미디어의 양적 풍요(?)가 빚어 놓은 현상이다.

언론 산업이 혼탁해 지면 어김없이 정부가 간섭을 해 온 것이 지난 반세기 우리 역사다. 과거와 같은 강압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미디어 산업을 바로 잡으려는 힘이 결집되고 있다.

광고업계를 필두로 학계나 시민단체들도 이래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언론 스스로가 건전한 저널리즘을 적극 실천하는 방안을 만드는 것이다. 또 그래야만 한다. 저널리즘이 오염되면 민주주의가 비틀거리니까!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