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툭하면 병원”…1인당 의사 방문횟수 OECD중 1위…입원기간·MRI·CT·병상수도 최상위권
[헤럴드경제=최남주 기자] 우리 국민의 병원 의존 및 선호 성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최고순위이며 입원기간도 가장 긴 축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보건복지부와 OECD ‘건강 통계 2015’(Health Data 2015)에 따르면 2013년기준 한국의 국민 1인당 의사 방문횟수는 14.6회로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많았다. OECD 평균은 6.7회였으며 일본이 12.9회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헝가리(11.7회), 체코(11.1회), 슬로바키아(11.0회), 독일(9.9회), 터키(8.2회), 캐나다(7.7회) 등의순이었다. 의사 방문횟수가 적은 하위권 국가는 핀란드(2.6회), 멕시코(2.8회), 스웨덴(2.9회), 칠레(3.3회), 뉴질랜드(3.7회) 등이었다.
사진=게티이미지

병원에 머무는 기간도 가장 긴 축에 속했다. 2013년도 한국 국민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16.5일로 OECD 평균 7.3일과 견줘 9.2일이나 많았다. 1위는 일본으로 17.2일이었다. 이어 핀란드(10.6일), 헝가리(9.5일), 체코(9.4일), 독일(9.1일) 등의 순이었다. 환자 1인당 평균 재원일수가 가장 적은 국가는 터키로 3.9일이었다.

2013년 기준 한국의 생존 출생아 1000명당 제왕절개 건수는 360건으로 OECD 국가중에서 5위였다. 1위는 터키(503.6건), 2위는 멕시코(451.9건), 3위는 칠레(447.0건), 4위는 이탈리아(361.4건)였다. OECD 평균은 276.2건이었다.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총 병상수는 2013년 기준 11개로 일본(13.3개)에 이어 OECD 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3위는 독일(8.3개), 4위는 오스트리아(7.7개), 5위는 헝가리(7.0개)였다. 가장 적은 국가는 멕시코(1.6개)였다. OECD 평균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인데 한국의 병상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기준 인구 1000명당 한국의 급성기 의료병상수도 6.2개로 일본(7.9개)에 이어 2위에 올랐다. OECD 평균(3.3개)보다 많았다. 급성기 의료병상수 역시 선진국 대부분에서 감소추세이지만, 한국은 지난 10년간 급속하게 늘고 있다.

한국의 고가 의료장비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3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만명당 MRI(자기공명영상)수는 24.5대로 OECD 회원국 중에서 네 번째로 많았다. 가장 많은 MRI를 보유한 국가는 일본(46.9대)이었고, 이어 미국(35.5대), 이탈리아(24.6대) 등의 순이었다. OECD 평균은 14.3대였다.

2013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만명당 CT(컴퓨터단층촬영)수는 37.7대로 OECD 회원국 중에서 6위였다. 1위는 일본(101.3대), 2위는 호주(53.7대), 3위는 미국(43.5대), 4위는 아이슬란드(40.5대), 5위는 덴마크(37.8대)였다. OECD 평균은 24.6대였다.

일본은 MRI와 CT 모두 가장 많이 갖고 있었다.

calltax@heraldcorp.comi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