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달아오른 Q&A 열기…3D프린팅에 대한 관심 높았다
[헤럴드경제= 신동윤 기자] 3D프린팅산업의 발전 방향과 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 주최로 한국생산성본부와 헤럴드경제가 주관해 대한상공회의소 후원으로 지난 1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장에서 ‘3D프린팅을 통한 창조경제 신시장 창출’ 주제의 세미나가 열렸다. 3D프린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이날 세미나의 주제발표와 패널 토론회 후 열린 ‘질의ㆍ응답(Q&A)’에서는 객석에 앉은 참가자들이 그동안 갖고 있었던 의문점에 대해 질문을 쏟아냈다.


- 3D프린터 관련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는 전폭적인 지지를 약속하지만 정권이 바뀌면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이 아닌가?

▶ 이낙규 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기술사업단장= 3D프린팅은 국내만이 아닌 글로벌 과제인 만큼 정권이 바뀌어도 지원이 충분할 것으로 확신하다. 다만, 한정된 연구ㆍ개발(R&D) 자금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찾기위한 조정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전략 컨설팅 사업에 종사 중이다. 정부가 발표한 ‘3D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에 따르면 기반기술 확보와 상업화, 선도기술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나와있는데, 글로벌 시장 내 타이밍 경쟁에서 뒤쳐질 우려는 없나?

▶ 이낙규 단장= 정부에서 기술 투자 계획을 단ㆍ중ㆍ장기로 나눈 것은 투자 효율을 위한 것이다. 매년 연구를 통해 관련 로드맵을 개정해나갈 예정이다.



- 현직 고등학교 교사다. 교구 제작 등 교과 과정에 3D프린팅을 이용하고 싶은데 방법은 무엇인가?

▶ 박성준 교통대 3D프린팅센터장= 전국 각지에 정부에서 운영하는 제조혁신지원센터가 있는 만큼 이를 잘 활용하면 된다. 하지만, 기업 및 일반인, 초ㆍ중ㆍ고교에서 여전히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교구의 경우 초등용 기본 제품은 생산하는 경우가 있지만 고교용 고급 제품에 대해서는 모델링, 디자인, 생산 모두 뜸한 상황이다. 그에 비해 외국의 경우 DNA 나선구조나 항원ㆍ항체 모형을 학생들이 직접 디자인해 만들며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교구 시장이 3000억원에 이르는 만큼 전량 외국산 또는 주문제작 등 비싼 제품에 의존하는 현실을 바꿔야 한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