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AIA의 중산층 리포트, 한국인 삶의 명암 드러내 눈길

AIA그룹이 지난 2월 26일부터 3월 18일까지 약 한 달 간, 시장조사기관인 ‘입소스(Ipsos)’를 통해 한국을 비롯해, 중국(중국 4대 도시 포함, 소득수준 중상위권 주요 도시만 선별)과 홍콩, 대만에서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및 대면 설문 조사 결과, 이들이 꿈꾸는 은퇴 생활 수준은 실제 수입이나 재산 규모에 비해 턱없이 높으며, 자신이 재정적으로 안정권에 들어왔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의 77%가 편안한 노후 생활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모으지 못할까 염려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는 중국 (25%), 홍콩 (49%), 대만 (51%)과 확연히 대비되는 수치다. 

이와 같은 한국 중산층의 걱정은 재정적으로 풍요로운 은퇴를 위한 기준조건과 현실 사이에서의 괴리감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에 참여한 한국 중산층의 ‘은퇴를 고려할 수 있는 재정적 희망 금액(“이 정도 금액이 있으면 당장 은퇴 할 수 있다”)’은 약 42억원으로, 설문에 응한 응답자의 월평균 가계소득이 710만원임을 감안할 때 연소득의 50배에 달한다.

또한, ‘총 자산 규모가 이 정도면 재정적으로 안정됐다’고 생각하는 기준이 평균 26억5000만원, ‘총 자산이 이 정도면 부유하다’고 여기는 평균이 23억2000만원인 것으로 드러나 ‘안정적인 삶’과 ‘부유한 삶’이 동일시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AIA 보험회사 마크 스탠리 마케팅 총괄 부대표는 “한국 중산층이 바라는 이상적 노후 목표자금은 다른 동북아시아 지역 사람들이 생각하는 금액을 훨씬 뛰어넘는 반면, 은퇴를 위한 월 평균 실제 저축액은 적게는 22만원에서 많아야 90만원으로 비교적 낮은 것이 사실”이라며 “전략적으로 은퇴 후의 자신의 삶의 설계자가 되어 저축과 투자액을 늘림으로써, 현실과 희망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