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창조’ 내세우는 현 정권이 국정 역사교과서라니
정권 차원에서 밀어붙이고 있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이 사실상 확정됐다고 9일 일부 언론이 보도했다. 새누리당과 교육부, 청와대가 협의를 통해 이를 기정 사실화 했으며 예상되는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표 시점을 조율하는 단계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달 말까지 교육부가 ‘2015년 개정교육과정’과 함께 교과서 발행체계를 고시해야 하는 만큼 추석 전이라도 공식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많은 역사학자와 교사 등이 줄기차게 지적했지만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한다는 건 참으로 시대 역행적인 판단이다. 두말 할 것 없이 지금이라도 정부 방침을 철회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우리 역사 교과서를 전면 손질할 필요가 있는 건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현재 발행되고 있는 8종의 검인정 교사는 사실 관계의 오류가 많고, 지나친 이념 편향성 등 적지않은 문제를 안고 있다. 하지만 그 대안을 국정화에서 찾는 것은 황당하기 짝이없는 발상이다. 빈대를 잡겠다고 초가삼간을 태우는 것과 하등 다를 게 없다. 문제의 본질은 틀리거나 빠진 내용을 바로 잡고, 어느 한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역사 교과서 보급이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각계 각층의 의견을 들어 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은 보는 각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국가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과 함께 생각의 다양성을 키우는 게 역사를 배우는 중요한 이유다. 이런 교육을 통해 사고가 탄력적이고 창의적인 젊은 인재를 사회에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입이 닳도록 강조하는 것이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이다. 그러나 다르게 보고, 뒤집어 보지 않는 정해준 것만 획일적으로 보는 사고와 발상으로는 어림없는 일이다.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는 현 정권의 국정운영 철학과도 정면 배치된다.

북한처럼 우상화와 극단적 이념으로 똘똘 뭉친 집단이나, 일부 원리주의 이슬람 국가 말고는 관제화된 역사를 교육하는 나라는 없다. 역사의 해석은 누구도 독점할 수 없고, 독점해서도 안되기 때문이다.

툭하면 역사 교과서가 논란의 도마에 오르는 데는 역사학계의 잘못도 크다. 학자들이 자신의 이념적 성향만 내세우다 보니 편향성 문제가 불거지는 것이다. 우리의 2세들이 중립적이고 균형잡힌 역사관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사명감이 부족한 탓이다. 그러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리저리 휘둘리며 사회적 갈등만 키우는 것 아닌가. 정치권도 역사 교과서를 정치적으로 이용해선 안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