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취재X파일] 홍성담을 위한 변명
[헤럴드경제=김아미 기자] 만약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1867)’을 서울시립미술관 로비에서 읽는다면? “종북”이니 “좌빨”이니 하는 비난이 빗발치듯 쏟아졌을 게 뻔하다.

올해 베니스비엔날레에서는 자본론을 읽는 ‘렉처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메인 무대 격인 이탈리아관에서다. 각국의 관람객들은 행위의 의미를 찾기 위해 경청했다. 


세계 미술계 트렌드를 짚어주는 베니스비엔날레가 올해 화두로 제시한 건 미술의 정치사회적 발언이었다. 미술가들은 다소 거칠지만 직접적인 방식으로 동시대와 호흡하는 미술의 역할을 거론했다. ‘은사자상’을 수상한 임흥순 씨의 작품 ‘위로공단’ 역시 직설화법으로 자본주의를 고발했다.

주초부터 미술계가 시끄럽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예술가 길드 아트페어’에 홍성담 화백의 그림 ‘김기종의 칼질’이 나와서다. 김기종은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를 흉기로 공격한 이다. 비난이 쏟아졌다. “테러범을 옹호했다”는 이유다.

홍성담이 누군가.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 출산 그림’으로, 지난해 광주 비엔날레에선 ‘세월오월’ 걸개그림으로 파문을 일으켰던 민중미술가다.

사건이 커진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미술품 매매가 법적으로 금지된 미술관에서 전시회도 아닌, 그렇다고 수익을 남기는 아트페어도 아닌 애매모호한 ‘화제성’ 이벤트를 벌였다는 것과, 이 이벤트에 홍성담이 있었다는 것이다.

전자에 대한 평가는 유보하더라도, 후자에 대해서는 씁쓸한 마음이다. 한국 미술계는 세계 미술계 트렌드와는 너무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여전히 이념의 잣대는 너무나 공고해서 표현의 자유가 발 붙일 곳이 없다.

‘김기종의 칼질’을 다시 봤다. 어디에도 김기종의 테러를 옹호했다거나, 그를 ‘의사(義士)’화 했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그의 그림은 그저 정치사회 구조의 부조리와 모순에서 비롯된 절망감을 희화화했다는 정도였다.

심미적으로도 그다지 매력적이지는 않았다. 지나치게 설명적이어서 좋은 미술작품을 대했을 때의 감동도 없었다. 굳이 사고 싶은 마음도 들지 않는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 뿐이다.

다만 이러한 문제작들을 반복적으로 내놓는 작가의 진짜 의도는 경청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사건이 또 일어나지 않기 위해 우리 사회의 민낯을 제대로 들여다봐야 한다”는 작가의 말 말이다.

사견 하나 더. 만약 그림에 ‘김기종은 나쁜 놈’이라는 글을 써 넣었어도 이렇게까지 비난이 쏟아졌을까. 궁금하다. 


am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