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객들이 어려움 없이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돕는 실내외 통합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른바 ‘캠퍼스 아틀라스’가 개발됐다.
카이스트(KAIST)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팀은 방문자의 이름이나 목적지의 방 번호를 입력하면 도착할 때까지 실내외가 연결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2일 밝혔다. 시스템에는 교내에서 열리는 학회나 강연에 대한 정보가 입력돼 있어 행사 장소와 함께 행사명을 검색하면 자동으로 목적지도 검색한다.
![]() |
카이스트 캠퍼스 외부 경로 서레가 완성된 모습 [사진=카이스트 제공] |
연구팀은 현재 평균 4~5층으로 구성된 40여 개 건물이 있는 KAIST 캠퍼스를 대상으로 기술을 구현했다. 200여 개의 실내 지도, 4000여 개의 관심지점 정보, 7000여 개의 노드로 구성된 실내외 경로, 약 40여 개의 건물별 무선랜 신호지도 구축 작업을 수행했다.
![]() |
KAILOS 경로설계 툴을 사용해 건물 외부와 내부 경로를 설계하는 모습 [사진=카이스트 제공] |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작년 3월 연구팀이 개발한 글로벌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인 KAILOS(KAIST Indoor Locating System)에 적용해 일반인에게도 공개하고 있다. KAILOS는 사용자 참여 방식(크라우드 소싱)으로 전 세계 실내지도와 신호지도를 모아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내 GPS 시스템이다. 실내지도 등록, 무선신호 수집 툴, 실내 경로 설계 툴 등을 갖추고 있다.
그 외에도 위치인식 정확도 가시화 툴, 실내외 통합 위치인식 시스템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 |
이동 수단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경로 안내 [사진=카이스트 제공] |
연구팀은 대학 뿐 아니라 지하철 및 버스 환승 구역, 실내 외 쇼핑몰이 공존하는 지역 등 통합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요구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 영역을 넓힐 예정이다. 더 나아가 상용 실외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 |
실내외 통합 캠퍼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개념 [사진=카이스트 제공] |
한 교수는 “길 안내 서비스에 머무르지 않고 캠퍼스 라이프 로깅, 출결 체크 자동화 등으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새로운 교육 및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위치 기반 스마트 캠퍼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고 말했다.
![]() |
캠퍼스 아틀라스 앱 주요 화면 [사진=카이스트 제공] |
dsun@heraldcorp.com